7조9200억원 투입, 항공기·무장·부속·시설 비용 포함
한국형전투기 KF-21 보라매 첫 생산 규모가 20대를 먼저 생산하고 추후 20대를 추가 생산해 총 40대로 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정부는 22일 제16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오는 6월까지 KF-21 체계종합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우선 20대 양산 계획을 체결하기로 했다. 다시 무장시험 등을 거쳐 내년 2월 20대를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헤럴드DB]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국형전투기 KF-21 보라매의 첫 생산 규모를 20대를 먼저 생산하고 추후 20대를 추가 생산해 총 40대로 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애초 최초 양산 40대 계약은 아니지만, 오는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최초양산을 통해 총 40대의 KF-21을 확보한다는 계획의 큰 틀은 유지되는 셈이다.
정부는 22일 제16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오는 6월까지 KF-21 체계종합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우선 20대 양산 계획을 체결하기로 했다.
다시 무장시험 등을 거쳐 내년 2월 20대를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KF-21 최초양산은 지난해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사업타당성 조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40대 계획에서 20대로 줄여야한다는 잠정 결론을 내리면서 혼선을 빚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KIDA는 당시 보고서에서 전투기에 탑재하는 공대공미사일과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다의 연계 검증시험 등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최초 양산 물량 축소를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F-4와 F-5 계열 전투기 퇴역으로 가뜩이나 적정 전투기 보유 대수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에서 공군의 전력공백이 불가피하고, KAI는 물론 LIG넥스원과 한화시스템을 비롯한 500여개 이상의 협력사들의 추가비용 및 유휴인력 발생 등 방산업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여기에 최초 양산 물량이 40대에서 20대로 반토막 날 경우 애초 800억원대로 예상된 KF-21 대당 가격은 1000억원대로 치솟을 것이란 추정이 나오면서 개발비용 부담은 물론 향후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이에 따라 정부와 방산업계는 단가 상승이나 전력화 지연 등 KF-21 사업 전반에 차질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예견되는 리스크를 전반적으로 점검하는 방향을 모색해왔다.
추가 20대 양산과 관련한 검증에서는 공대공 무장시험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공대공유도탄과 AESA 레이다 연결성을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올해 6월까지 검증시험을 완료하고 KIDA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 기관과 협의 후 내년 2월까지 잔여 20대 추가 양산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최초 양산 물량 40대를 2028년까지 양산해 공군에 인도한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공군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최초 양산 물량 40대를 전력화하고, 2032년까지 80대를 추가 도입해 총 120대의 KF-21을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최초 양산 사업 기간에는 약 7조9200억원이 투입된다.
이와 관련 방사청 관계자는 “항공기와 무장 가격, 수리 부속, 군수지원 및 시설 구축 비용과 함께 시뮬레이터 등 수백 종의 지원 장비가 포함된 금액”이라면서 “KF-21 개발 과정에서 KAI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환급금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형전투기 KF-21 보라매 첫 생산 규모가 20대를 먼저 생산하고 추후 20대를 추가 생산해 총 40대로 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정부는 22일 제16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오는 6월까지 KF-21 체계종합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와 우선 20대 양산 계획을 체결하기로 했다. 다시 무장시험 등을 거쳐 내년 2월 20대를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헤럴드D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