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핵실험’ 내년 1월 이후로 넘어가나
北, 내년 1월 17일 최고인민회의 개최
국정원 ‘10~11월 핵실험’ 예측 빗나가
전문가, 연내 핵실험 가능성 작게 전망
“다급하지 않아…내년 1~2월 가능성”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지난달 16일(현지시간) 북한의 7차 핵실험 장소로 유력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에서 여전히 활동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8년 5월 폭파 전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 입구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북한이 남측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를 내년 1월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와 맞물려 그간 예측이 빗나간 7차 핵실험 시기 역시 최고인민회의 이후가 될지 주목된다.

조선중앙통신은 7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8차 회의를 2023년 1월 17일 평양에서 소집한다”며 “이와 관련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결정이 6일 채택되었다”고 보도했다.

내년 첫 최고인민회의에서는 ▷내각 사업 정형과 내년 과업 문제 ▷올해와 내년의 국가 예산 문제 ▷평양문화어보호법 채택 관련 문제 ▷중앙검찰소 사업 정형 문제 ▷조직 문제 등이 토의될 예정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특히 당초 중국 당대회 폐막일인 지난 10월 22일부터 미국 중간선거가 끝난 11월 8일 사이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것이란 국가정보원의 관측이 빗나간 상태에서, 북한 최고인민회의 이후로 핵실험이 미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재 정부와 전문가들은 북한의 연내 7차 핵실험 가능성을 낮게 전망한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핵실험이 내년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 “일단은 그렇게 보는데 예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마쳤지만, 올해 안에 핵실험을 해야 할 만큼 절실한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7차 핵실험이) 3월설, 5월설, 11월설 그리고 이제 내년으로 넘어가는 상황”이라며 “북한의 핵실험은 ‘군사적 필요’와 ‘정치적 필요’ 두 가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문 센터장은 “북한이 핵실험을 여섯 번 했기 때문에, 웬만한 군사 기술은 확보했을 것”이라며 “그렇다면 군사·기술적으로 핵실험이 크게 다급한 상황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정치적 필요에 대해선 “한미일 정상이 이른바 ‘프놈펜 선언’(지난달 13일)을 통해 북한이 핵실험을 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대응을 할 것이라고 얘기했으니, 핵실험을 통해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을 가능성도 있다”며 “때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서도 고민이 클 것”이라고 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북한은 과거에도 김정은 생일, 김정일 생일, 정권수립기념일, 당창건기념일 같은 중요한 정치적 기념일이나 그 직전에 주로 핵실험을 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내년 1월 8일 김정은 생일 직전이나 2월 16일 김정일 생일 직전에 제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북한이 이달 하순 전원회의를 개최하고, 연말 ‘총화’가 있는 점도 연내 핵실험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총화란 북한 주민들이 당이나 근로단체 같은 소속 조직을 매개로, 각자의 업무와 공·사생활을 반성·비판하는 것을 뜻한다. 북한은 통상 12월 결산 식의 연말 총화를 해 내부 일정이 분주하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12월이면 이른바 총화를 하기 때문에 보통은 그렇게 도발을 안 해왔던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북한이 7차 핵실험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 않아 내년에도 정치적·군사적 목적으로 핵실험을 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핵심 변수는 북한의 내구성”이라며 “북한이 국경이 완전히 봉쇄된 지 3년이 다 돼가는 상황에서 경제가 얼마나 더 버텨줄 수 있느냐가 핵심적인 영향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po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