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日, 납북자 특별조사위와 대북제재 해제 주거니 받거니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핵실험과 과거사 문제로 동북아시아에서 각각 ‘왕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북한과 일본이 급격히 가까워지는 모양새다.

북한은 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북·일 국장급 협의 결과를 처음으로 보도했다.

핵실험 이후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고리로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신은 “조(북)·일 정부간 회담이 1일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됐다”며 “쌍방은 지난 5월말 이룩된 조·일 스톡홀름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활동정형에 대해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측은 대조선제재 해제의 내용과 수속진행 정형 등에 대해 상세히 통보했다”며 “조선측은 ‘특별조사위원회’ 권능과 구성체계, 운영방법, 조사형식과 방법 등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또 “쌍방은 외교경로를 통해 연계를 가지면서 차후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며 북·일간 추가 접촉이 진행될 것임을 시사했다.

북한이 공식매체를 통해 북·일 국장급 협의 결과를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거사와 영토 문제로 한국,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일본도 북한과의 관계개선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3일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 대북제재 조치를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납치 문제를 비롯한 모든 일본인 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에 대해 국방위원회, 국가안전보위부라는 국가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기관에서 전면에 나섰고, 전에 없이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다”며 “행동 대 행동의 원칙에 따라 일본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일부 조치를 해제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 북한 국적 보유자의 원칙적인 입국 금지, 방북 조총련 간부의 재입국 금지, 일본 국민의 방북 자제 요청, 인도적 목적의 북한국적 선박 입항 허용, 대북 송금 규제 완화 등의 조치를 취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북·일협상 북한측 수석대표인 송일호 북·일 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는 3일 귀국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미 합의됐던 것”이라며 “이제 돌아가서 구체적인 것을 우리 정부에 보고해서 거기에 맞는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