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한국 설치 확정…北 격렬 반발할 듯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의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에 대한 책임을 규명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가 한국에 설치된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북한인권사무소를 유치하려던 단계부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28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와 태국 방콕 등에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두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여러 회원국이 한국에 두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한국에 설치하는 방안에 대한 유엔 인권최고대표(OHCHR) 요청에 한국 정부가 동의했다”고 밝혔다.

루퍼트 콜빌 OHCHR 대변인도 “한국 정부가 28일 OHCHR과 회원국간 협의에 따라 북한인권사무소를 한국에 설치하도록 해달라는 요청을 수락한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며 “한국은 문명사회와 피해자들이 북한의 인권 상황을 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라고 말했다.

또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는 유엔의 기본원칙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몇 개월 안에 조직이나 인력 등 정확한 운영계획이 확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설치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가 지난 2월 보고서를 통해 북한에서 반인도 범죄가 자행되고 있다면서 북한의 기관 및 개인에 대한 책임 추궁과 북한 인권상황 기록 등의 후속조치를 할 수 있는 조직 설치를 제안한데 따른 것이다.

이후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말 COI의 보고서를 토대로 대북인권결의안을 채택하고 OHCHR에 북한 인권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조직을 설치토록 했다.

우리 정부와 여당은 유엔 인권이사회의 대북인권결의안 채택 이후 북한인권사무소를 국내에 두는 방안을 적극 검토·추진해왔다.

북한인권사무소는 5명 내외의 실무인력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북한은 북한인권사무소의 한국 설치 추진 단계서부터 강하게 반발해왔다.

북한은 이와 관련,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와 언론매체 등을 동원해 “유엔 ‘북인권사무소’를 남조선에 끌어들일 흉계를 드러낸 것은 북남관계의 총체적 파국을 기정사실화한 분별없는 망동”이라며 “북남관계를 더욱 엄중한 사태로 몰아가는 극도의 정치적 도발”이라는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