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케리, 日외무상에 “한일관계 어떻게 대처할까” 각성 촉구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일본 외무상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미국의 동북아 전통 우방인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관계가 최악을 거듭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일본에게 ‘결자해지’를 다그쳤다는 분석이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냉각된 한일관계를 우려하는데 상당시간을 할애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한일 두 나라 관계에 “알아서 할 일”이라며 중립을 표명하거나, 때로는 일본에 손을 들어줬던 지금까지와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일본 언론들에 따르면 케리 국무장관은 워싱턴을 방문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외무상과의 회담에서 한일관계가 삐걱대는 상황은 미국의 국익에도 반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후미오 외무상에게 “(한일관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고 직설적인 질문도 서슴치 않았다. 이에 대해 기시다 외무상은“구체적인 협력을 쌓아가며 끈기있게 대응할 것”이라고 원론적인 답변만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교도통신은 미국 당국자를 인용, 다음 주 한국과 중국 방문길에 나서기 앞서 기시다외무상을 만난 케리 장관이 정해진 회담시간의 3분의 1 이상을 한일관계에 할애했다고 전했다. 두 사람의 회동이 알려진 것 이상으로 심각한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는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이날 케리 장관의 태도는 결국 미국이 아베 신조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이후 더욱 냉각된 한일관계의 개선을 일본에게 직접 요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부상하는 중국에 한미일 공조로 대응해야 하는 미국으로써 더 이상 일본의 돌출 행동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두 사람의 회동 결과 역시 마찬가지다. 기시다 외무상은 오는 4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4월 일본 방문에 대한 확답을 얻고자 했지만, 양측은 회담 후 구체적인 일정 발표를 하지 못했다. 일본 단독 방문을 통해 한일 관계, 나가서는 동북아 갈등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했던 아베의 구상에 차질이 생겼다는 의미다.

한편 케리 장관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중일관계 개선도 촉구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이에 대해 “일중간 전략적 호혜 관계를 목표로 한다는 우리나라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