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이산상봉 재고 위협 속 일단 실무단 방북 수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국방위원회 성명을 통해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에 대한 비방 중단과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지를 요구하면서 이산가족 상봉 재고를 시사했던 북한이 우리측의 금강산 실무점검단 방북을 수용했다.

북한이 전날 국방위 성명에도 불구하고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합의에 따라 실무점검단 방북을 수용한 것은 일단 이산상봉은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통일부는 7일 북한이 이산상봉 장소인 금강산 시설을 점검하기 위한 우리측 실무점검단 방북에 동의해왔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오전 7시50분께 실무점검단 방북 동의 입장을 전달해왔으며, 이에 따라 대한적십자사와 현대아산 및 협력사 관계자 66명으로 구성된 실무점검담은 27대의 차량을 이용해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를 거쳐 오전 9시 방북했다. 이들은 금강산 현지에서 북한측과 이산상봉 일정 등을 논의하고 상봉행사장과 숙소의 통신과 전기시설, 난방 상태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하지만 북한이 실무접촉 당일이었던 5일 미국의 B-52 전략폭격기가 전북 군산 직도 상공 일대에서 훈련을 벌인데 대해 반발하는 등 한미 합동군사훈련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이산상봉이 파행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이산상봉 전까지 한편으로는 행사준비를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강온병행 전략을 펼칠 것”이라며 “한미 합동군사훈련 계획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통보됐을 때 이산상봉을 연기하자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이어 “북한이 1차로 진행되는 우리측 이산가족 상봉은 받아들였다가 한미 합동군사훈련이 겹치는 기간 이뤄지는 북측 이산가족의 2차 상봉은 무산시키는 분리대응으로 나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남북은 전날 이산상봉에 참석할 양측 상봉단 명단을 교환했다. 북한은 지난해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 추진 당시 통보한 100명 가운데 상봉에 참석하지 않을 5명을 제외한 95명을 확정지었다. 우리측도 사망하거나 건강상 문제로 참석하지 못하는 인원을 제외한 85명의 상봉단 명단을 전달했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