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한미 합동군사연습으로 이산가족 상봉 맘 편히 못해”, 南, “유감”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은 9일 정부가 제안한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와 연계시키는 가운데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빌미로 거부했다.

정부는 이에 유감을 표명하고 남북관계 개선의 진정성으로 보여야한다고 촉구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북측이 연례적 군사훈련 등을 인도적 사안과 연계한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며 “북측은 말로만 남북관계 개선을 얘기할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위한 우리측의 제의에 성의 있게 나오기를 촉구한다”며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호응해 올 것을 재촉구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사실상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 문제와 연계시킨 데 대해서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북측이 제기하는 문제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제안하고 통일부가 같은 날 오는 10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고 제안한데 대해 사흘간 침묵으로 일관하다 최종적으로 거부한다는 입장을 전달해왔다.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은 통지문에서 남측이 대결적 자세에 변화가 없다고 하면서 인도주의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자면 장애물이 제거되고 분위기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조평통 서기국은 또 남측에서 전쟁연습이 계속되고, 곧 대규모 합동군사연습이 벌어지는데 이산가족 상봉을 맘 편히 할 수 없다면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서는 자신들이 제기했던 문제들도 같이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합동군사연습과 북한이 제기했던 문제들은 각각 3월 초 시작하는 한·미 연합군사훈련인 키 리졸브와 금강산관광 재개를 언급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평통 서기국은 다만 “남측에서 북측의 제안도 함께 협의할 의사가 있다면 좋은 계절에 마주 앉을 수 있을 것”이라며 남북관계 개선과 향후 이산가족 상봉행사 추진의 여지는 남겼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