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韓·美·中 분주해진 외교행보...한반도 위기관리 해법 모색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반도 위기가 정점을 찍은 상태에서 소강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주변국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지고 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정상들과 고위 외교당국자들은 이번 주부터 다음 달 초까지 잇달아 접촉을 갖고 한반도 정세에 대해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연일 쏟아지던 북한의 도발 위협은 잠시 주춤해졌지만, 오는 25일 북한군 창건일과 이달 말까지 이어지는 한미 독수리연습 기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우선 그동안 소극적 태도로 일관했던 중국의 움직임이 눈길을 끈다. 북핵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특별대표는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을 방문중이다.

우 특별대표는 글린 데이비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비롯해 미 정부 고위인사들과 만나 북한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미국과 중국은 이 자리에서 북한의 도발-보상-재도발-재협상을 거듭해온 기존의 대북전략 패턴을 끝내고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우 특별대표는 미국 방문 이후 북한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 특별대표의 방북이 성사된다면 북한과 미국 사이의 메신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일련의 흐름은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중국방문을 마치고 돌아와 “중국이 없으면 북한은 붕괴할 것”이라며 미중협조를 강조한 뒤에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한국 외교의 행보도 바빠지고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24일 중국을 방문한다. 윤 장관은 방중기간 왕이(王毅) 외교부장과 왕자루이(王家瑞) 당 대외연락부장 등을 만나 한중 대북정책 공조 방향을 논의한다.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미사일 발사 등 추가도발로 한반도 긴장을 높여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중국에 전달할 것”이라며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외교의 정점은 단연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중국 방문이다.

박 대통령은 다음 달 5일 취임 후 첫 해외순방으로 미국을 방문한다. 한미간에는 현재 원자력협정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협상 등 현안이 산적해있지만 북한 문제가 가장 비중 있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이어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현재 한중 외교 당국은 박 대통령의 방문 형식과 일정을 놓고 협의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중국이 본격적으로 움직이면서 한반도 정세가 강대국 위주로 흐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한국의 역할을 얼마나 부각시킬지가 과제가 될 전망이다.

북한의 태도는 여전히 변수다. 당장 우 특별대표의 방북부터가 불투명하다. 북한은 3차 핵실험 직전 우 특별대표의 방북을 거절한 바 있다.

특히 북한이 국제사회의 외교적 해결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부 정치적 목적 등을 이유로 중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도발을 끝내 강행한다면 한반도 위기는 다시 고조될 수밖에 없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