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버스토리> 산전수전 겪은 習·풋내기 金…혈맹관계 유지 불투명?
시진핑 등장이후 北 김정은 체제와 관계는
30년 나이 차·정치외교 경력 등 비교 안돼
김정일·후진타오 동갑내기 시대와는 다른 양상

北·中밀월 유지속 한미동맹 대응 더 견고해질 수도
胡주석비해 강성 분류되는 習외교노선은 변수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지도체제 출범은 북ㆍ중 관계도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이은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등장,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에 이은 시진핑 시대 개막 등 양국 최고지도자의 세대교체가 동 시점에 이뤄지는 것도 양국관계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국제사회로부터 전방위적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으로서는 유일한 ‘산소호흡기’ 역할을 하고 있는 중국의 권력체제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시진핑 시대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대북 정책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김정은과 시진핑 나이 차이 30년 넘어=북ㆍ중 관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시각은 가장 먼저 김정은과 시진핑의 나이와 경험 차이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에 주목한다. 1984년생으로 알려진 김정은은 1953년생인 시진핑과 30년 넘는 나이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첨예한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정치·외교 무대에서 좀처럼 극복하기 힘든 간극이다.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 강행 등으로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때마다 1942년생 동갑내기였던 김정일과 후진타오가 유지했던 북ㆍ중 밀월관계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김정은과 시진핑이 후계자 수업을 받으면서 쌓은 경험의 차이는 더욱 크다. 김정은은 어린 시절 스위스 유학을 경험했으며 북한에서도 주로 김정일 별장 등에서 생활하며 철저하게 로열 패밀리의 일원으로 자랐다. 김정은이 본격적인 후계자 수업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08년 가을 김정일의 건강문제가 불거진 시점을 전후한 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정은은 2년 뒤인 2010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인민군 대장 칭호를 받으면서 공식석상에 데뷔했고 아버지가 사망한 뒤인 2012년 당 제1비서, 국방위 제1위원장, 공화국 원수 자리에 오르며 권력세습을 마무리했다.

반면 시진핑은 100년 전 서구열강에 침략을 받았던 중국을 지금은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주요 2개국(G2)으로 성장시킨 주역 중 하나로 손꼽힐 만큼 탄탄한 국정운영 경험을 갖고 있다. 시진핑이 호랑이라면 김정은은 ‘어린 강아지’에 비견된다. 김정은과 시진핑의 이런 나이와 경험의 차가 부각된다면 북ㆍ중 관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시진핑, 북과 대(代) 이은 관시(關係)=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중국에서 시진핑 지도체제가 출범한다고 해도 북ㆍ중 관계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김일성, 김정일과 마오쩌둥(毛澤東), 덩샤오핑(鄧小平),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로 이어지는 동안 쌓인 북ㆍ중 간 전통적 우호협력관계와 혈맹관계가 그만큼 공고하다는 것이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시진핑 지도체제가 등장해도 북ㆍ중 최고지도자들이 이전에 만들어 놓은 협력 틀이 있기 때문에 굳이 바꿀 이유가 없다”며 “북ㆍ중 관계를 새롭게 설정한다고 해도 양국 모두 실익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 새롭게 할 만한 것도 없다”고 말했다.

오히려 시진핑의 중국이 한ㆍ미ㆍ일 동맹 대응 차원에서 북한을 더욱 중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시진핑의 대외정책은 비교적 강성”이라며 “북핵 문제나 한반도 평화 문제가 불거질 때 미국의 대중 압박정책에 맞서 후진타오보다 강하게 북한 입장을 옹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008년 국가부주석에 오른 뒤 첫 외국순방지로 북한을 선택했던 시진핑은 평양에서 “중국과 북한은 물과 산으로 맞닿아 있는 이웃”이라며 강조한 바 있다.

시진핑은 중국 정치의 특징으로 꼽히는 관시(關係) 측면에서도 북한과 적잖은 인연을 맺고 있다.

시진핑의 아버지 시중쉰 전 부총리는 한국전쟁 때 인민해방군 사령관이었던 펑더화이(彭德懷)의 심복이었으며 김일성과도 교분을 나눈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의 한반도 정책과 대북 정책의 변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임 교수는 “중국 내부에는 북한과 경제협력은 강화하면서도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며 “한국, 미국, 일본과의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따라 북한의 활용가치 판단을 달리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