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위안부 명칭변경 요청오면 검토”
“법률 제정뒤 정착…당장 변경은 어려워”

‘성노예’ 용어엔 피해자들 반감도



정부는 미국과 일본 간에 외교 문제로 비화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명칭과 관련해 피해자들의 요청이 들어오면 구체적으로 용어 변경을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11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공권력에 의해 여성 인권이 철저히 유린된, 반인권 범죄인 만큼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다만 명칭은 법률 제정 이후 이미 정착돼 있고 피해자 분들이나 관련단체도 해당 용어를 쓰고 있기 때문에 당장 변경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피해자 지원과 기념사업을 위해 1993년 제정한 법률은 일제 강점기 강제로 군에 동원돼 성적으로 착취당한 피해 여성을 ‘위안부’로 명시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피해자와 해당 관련단체들이 청원할 경우, 명칭 변경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성순 한국정신대연구소장은 11일 “성노예란 용어는 피해자들이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게 대체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학계에서도 통일된 안은 없다”며 “국제사회에서도 일제 강점기 성적 유린을 당한 피해 여성에 대한 용어가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위안부가 영어로 번역되면서 또 다른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한자권에서는 일본의 반인권적 행위라는 의미가 위안부라는 용어 안에 내포돼 있지만 영어 표현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김동희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사무처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말은 남북이 함께 쓰고 있는 표현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영어로 위안부(Comfort women)로 번역되면 어감상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우리 정부 입장과 달리 미ㆍ일 사이에서는 위안부 명칭 때문에 미묘한 기류가 조성되고 있는 분위기다.

최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국무부 고위 관계자로부터 한ㆍ일 과거사에 대한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일본군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표현이 나오자, 이는 잘못된 것이라며 ‘강제적인 일본군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라는 명칭을 써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러나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무상은 “ ‘성적 노예’라는 말은 틀린 표현”이라고 반박했다.


<신대원 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