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金외교, “한일 정보협정 책임 다른데 전가 안해”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일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GSOMIA) 파문에 대해 “외교부가 다른데 책임을 전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출입기자들과 만나 “일을 이렇게 만든 것에 대해 송구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의 발언은 졸속처리, 외교결례 논란을 일으킨 협정 추진과 관련해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외교부 내에서 청와대에 대한 불만 섞인 듯한 목소리가 나오는 등 정부내 갈등양상으로 확산되자 수습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김 장관은 협정 추진 과정에서 국민의 이해를 구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에도 “외교부의 판단이었다”며 “외교부가 이해를 구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또 “국무회의를 하면서 설명을 안 한 부분은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면서 “국무회의에 비공개 안건으로 올린 것은 정부의 결정이며 외교부의 판단이었다”며 외교부가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간부회의 때도 “외교장관 책임하에 일을 한 것이지 절차상 문제도 있는데 다른 부처나 다른 쪽에 손가락질하거나 책임을 미루는 것은 좋지 않다”며 “국회에 충분히 설명한 이후 협정 서명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앞서 정부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외교부는 일본 관련 독도와 교과서 등의 문제를 늘 다뤄왔기 때문에 일본에 대한 국민감정을 잘 알고, 협정체결 사실이 알려졌을 때 어떤 역풍이 불지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신중하게 처리하자는 의견이었다”며 국무회의 비공개 처리가 청와대의 의중에 따른 것이었다고 말해 논란을 야기한 바 있다.

김 장관은 이와 함께 국무회의 전 국회와의 협의과정이 없었다는 지적에 “국회가 구성이 안 됐기 때문에 상임위에 가서 설명할 수 없었다”며 “여야 정책위 의장한테는 설명을 드렸고 국무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라는 설명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다만 야당에서 제기되고 있는 외교장관 사퇴론에 대해서는 “야당에서 정식 검토한다고 했으니 검토 결과를 보고 얘기하자”면서 “수습방법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일의 마무리가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즉답을 회피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