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북주의 논란에 오버랩... 北 60년대 사회대중당 지원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종북주의 논란이 정치권은 물론 사회 전반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1960년대 초 진보성향의 사회대중당을 비롯해 학생, 노동단체들을 직접 지원했다는 증언이 담긴 외교문서가 공개돼 미묘한 파장이 예상된다.

현재의 종북주의 논란의 시발점이 된 통합진보당 당권파에 대해서도 북한과의 연계성을 둘러싼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우드로윌슨센터(WWC)가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옛 동독 외교문서에 따르면 1960년대 초 북한은 남한의 사회대중당을 비롯한 일부 정치인과 노동조합, 그리고 학생단체들과 긴말한 연대를 갖고 있었다. 북한은 특히 이들 정당과 단체들에게 정치적 지원뿐 아니라 물질적 지원까지 했으며 대남정책을 효율적으로 펼치기 위해 노동당내 특별조직을 설치하기도 했다.

외교문서에서 언급된 사회대중당은 이전까지의 진보당과 민주혁신당, 근로인민당, 민주사회당 인사들이 결집해 1960년 창당한 정당으로 같은 해 7·29 총선에 135명의 후보를 공천했지만 5명의 의원만을 배출하고 이듬해 5·16 군사정변 직후 해산됐다.

사회대중당은 자유당에 대해 반공이라는 미명 하에 혁신의 싹을 공산당으로 몰아 짓밟았었다고 비판했으며, 정치적 민주주의와 관료매판자본으로부터 초래된 빈곤을 벗어나 진정한 민주복지국가를 건설해야한다고 하는 등 진보적 주장을 내세웠다.

외교문서는 이와 함께 북한의 영향을 받은 남한 인사들이 광복 15주년을 맞아 불법으로 평양을 방문해 노동당 지도부와 만났다고 밝혔다.

이는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탈북자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임수경 민주통합당 의원의 방북이나 노수희 범민련 남측본부 부의장의 장기 북한체류, 그리고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유력 남한 정치인의 실명을 거론하며 친북·종북 발언을 공개하겠다고 위협한 장면과도 미묘하게 오버랩 되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북한이 60년대 남한 정당과 정치권에 직접 개입했다고 해서 이 같은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한 남북문제 전문가는 “60년대는 남한이 정치적으로 혼란기였고 경제적으로도 북한보다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북한의 개입이 가능했던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쇠퇴하고 남북간 경제력 격차가 벌어진 현 시점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