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6월 안보리의장 수임…北핵실험 변수될까?
[헤럴드생생뉴스]북한의 3차 핵실험 가능성과 그 시점을 둘러싸고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적어도 6월에는 북한이 핵 실험을 감행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6월 불가능설의 주된 이유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6월 순번제 의장국이 중국이라는 점이다.

유엔 고위 당국자는 2일(현지시간)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1ㆍ2차 핵실험을 했던 과거의 패턴을 볼때 이번에도 핵실험에 나설 것이라는 게 중론”이라면서도 “안보리 주변에서는 (북한이) 최소한 6월은 피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 이유로 “안보리에서 북한을 대변하는 사실상의 유일한 강대국이 중국인데, 의장국을 맡고 있는 상황에서는 핵실험에 대한 운신의 폭이 너무 좁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실 5월 하순으로 접어들면 6월 말까지는 핵실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진작부터 나돌았다”며 “5월 말에 핵실험을 해도 안보리의 조치는 중국이 의장국이 되는 6월에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었다”고 덧붙였다.

반면, 중국의 안보리 의장국 수임이 핵실험 시기에 결정적 변수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핵실험의 경우 최고 수위의 도발이기 때문에 중국이 안보리 의장국이 아니라고 해도 북한 편을 들기는 힘들다는 인식에서다. 중국은 1ㆍ2차 핵실험 때에도 제재 논의과정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

한편, 북한은 3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이중적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지난달 22일 조선중앙통신과의 문답에서 “처음부터 평화적인 과학기술위성 발사를 계획했기 때문에 핵실험과 같은 군사적 조치는 예견한 것이 없다”고 밝힌 것은 당분간 핵실험이 없다는 뜻으로 읽히기도 했다.

북한은 그러나 곧바로 “미국의 적대정책이 계속되는 한 핵억제력은 멈춤 없이 확대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한 것은 자신들이 원하지 않는 상황이 조성될 경우 언제든 ‘핵카드’를 꺼내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됐다.

같은 날 CNN은 군사분석기관 ‘IHS 제인’의 위성사진 분석 자료를 인용해 북한 핵실험장에서 굴착장비의 움직임이 관측됐다고 보도했고, 우리 정부도 풍계리 핵실험장에 새로운 도로와 구조물이 건설된 사실을 확인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