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주사파 대부 김영환 구금에 北 정보조직 개입”…석방대책위 주장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1980년대 국내 주체사상파의 대부로 불린 김영환씨와 한국인 3명이 지난 3월 중국 랴오닝(遼寧)성에서 체포돼 구금중인 것과 관련, 북한 정보조직이 개입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 석방대책위원회’는 15일 낸 성명에서 “김씨가 적극적인 북한인권 운동을 전개해 북한 당국의 특별한 관심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랴오닝성 국가안전청이 김씨와 한국인 3인을 장기간 강제구금하고 있는 원인으로 북한 정보조직의 개입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중국 당국이 김씨 등의 구금사유로 ‘국가안전위해죄’를 든데 대해서도 “김씨는 그동안 저술활동과 공개강연에서 중국정부의 개혁개방과 경제발전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으며 한중 우호관계 발전을 적극 주문했다”면서 “김씨가 중국 국익에 반하는 행위를 했다는 어떤 정황과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 사건이 랴오닝성 국가안전청이 사건을 철저히 은폐한 채 북한 공안기관과 모종의 협의하에 사건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강한 의혹을 지울 수 없다”며 “중국 국가 정보조직이 북한 정보기관을 위해 한국 민간인들을 강제 구금한다는 것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이 전달한 김씨를 제외한 한국인 3명의 ‘영사접견 포기각서’와 관련, “자유로운 상황에서 스스로 작성한 것으로 볼 수 없다”면서 “랴오닝성 국가안전청이 강압적 수단이나 허위조작으로 각서를 만들었을 가능성과 고문이나 폭행, 가혹행위가 있었을 것이라는 강한 우려를 갖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김씨와 한국인 3명은 지난 3월29일 중국 랴오닝성 다롄(大連)에서 중국 공안에 체포됐으며 14일 대책위를 통해 이 같은 소식이 알려졌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