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미호 선원 전원 이상무…정부 해적대책 “예정대로 추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됐다가 4개월여 만에 풀려난 금미305호가 10일 오전 현재 유럽연합(EU) 함대 소속 핀란드 군함과 만나 안전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우리 선박에 대한 소말리아 해적의 공세가 과거보다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해적 피랍 방지를 위한 자구책 강화 노력은 예정대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10일 정부 관계자는 금미호와 관련해 “금미호는 현재 안전한 먼바다에 정박 중이고, 우리 시간으로 오늘(10일) 오전 8시15분께 핀란드 군함이 금미호와 만났다”며 “선원 모두, 건강에는 큰 이상이 없다”고 전했다. 금미호가 선체 고장 및 연료 부족으로 자체 기동이 불가능한 상태고, 노르웨이 군함 역시 생각보다 속도가 빠르지 않아 접선 시간은 다소 늦어질 수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금미호 석방 대가와 관련해서 정부는 “돈을 주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일부 언론에서 협상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약 60만달러 상당의 대가가 지불됐다는 보도와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해 외교 소식통은 “ ‘해적과 직접 협상은 없다’는 게 정부의 어쩔 수 없는 일관된 원칙”이라며 “이번 역시 정부가 대가 지불을 직접 인정할 수는 없고, 있다 하더라도 선사나 케냐 정부 등을 통해 애당초 초기 요구보다 훨씬 적은 소액이 건네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정부 일각에서는 지난달 우리 청해부대가 삼호주얼리호를 구해낸 ‘아덴만의 여명’ 작전 효과가 이번 금미호 석방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해적들이 금미호를 묶어둬 봤자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삼호주얼리호 구출 과정에서 보여준 우리 정부의 강경한 태도도 해적들을 심리적으로 압박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정부는 금미호 석방 과정에서 무력진압 가능성을 국내외 언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노출시키는 심리전을 펼친 바 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