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터;View] ‘써클’ 김강우 “배우도 직업인…반등의 계기 필요했다”
이미지중앙

사진=씨제스 제공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남우정 기자]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고 했다. 15년간 쉴 틈 없이 달려온 김강우가 ‘써클’을 만난 건 서로에게 행운이었다. 국내 첫 SF 드라마인 ‘써클’은 김강우를 만나 2037년이라는 쉽지 않은 설정을 시청자들에게 이해시킬 수 있었고 김강우는 SF 장르 도전은 물론 인생연기라는 극찬을 얻었다.

최근 종영한 tvN ‘써클:두 개의 세계’(이하 ‘써클’)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SF 장르의 드라마에다 2017년을 배경으로 한 ‘파트1:베타 프로젝트’와 2037년을 배경으로한 ‘파트2:멋진 신세계’라는 더블 트랙으로 진행되는 획기적인 작품이었다. 김강우는 파트2에서 형사 김준혁 역을 맡아 열연을 보여줬다.

“SF 장르를 특별히 좋아하진 않았다. 유명한 작품을 보긴 했지만. 우리나라에서 드라마로 한다고 했을 때 걱정이 되더라. 시간도 없는데 CG는 어떻게 해서 방송할지 걱정했지만 시나리오가 재밌고 기발하고 신선했다. 처음 선택했을 때 고민을 안했다면 거짓말이다. 근데 김준혁이라는 캐릭터가 매력 있었다. 인간미 넘치고 유머러스하기도 하고.”

시청률이 모든 걸 말해주지 않지만 ‘써클’은 유난히 아쉬울 수밖에 없다. 작품 자체로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첫 회 시청률이 ‘써클’의 최고 시청률이 됐다. 색다른 소재와 기존의 드라마와는 다른 더블 트랙이라는 구성이 중간 시청자를 유입하기엔 어려웠다.

“시청률은 아쉽죠. 근데 어쩔 수 없지 않나. 첫 회 시청률이 가장 높았고 기대와 달라 빠진 시청자들이 있다. 남은 분들이 그 정도 선이다. 제가 봐도 중간 유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니 남은 분들은 마니아층이라고 봐야 될 것 같다. 이번 드라마는 보시고 장문의 리뷰를 쓰시는 분들이 많더라. 그게 적극성을 띄고 빠져서 본다는 게 아닐까. 그게 좋았다. 서로 설전을 벌이고 그런 드라마가 많지 않다.”

‘써클’은 쫄깃한 전개를 이어가면서 한번 보면 멈출 수 없는 이야기를 펼쳐냈다. 매회 등장하는 반전에 반전은 손에 땀을 쥐게 했다. 김강우의 아내가 우연히 펼쳐진 대본을 보고 스포일러를 당해 화를 낸 일화도 있었다. 대본을 받으면서도 김강우가 항상 궁금했던 것은 2037년의 우진(여진구)이었다.

“제일 궁금했던 것은 우진이가 어떤 모습으로 나올 지였다. 그건 못 봤던 것이니까. 2017년 그대로 나올까, 내 나이대로 나올까 아니면 다른 사람이 나올지 궁금했다. 휴먼비 회장의 존재는 저도 몰랐었다. 우진이라는 생각은 안 했던 것 같다. 한상진(박동건 역)과 민진기 감독만 알고 있었다. 모두를 기만했다.(웃음) 감독님이 한상진한테 말하지 말라고 했다더라.”

이미지중앙

■ “여진구, 천성이 착한 사람”

‘써클’에서 김강우는 2017년 우진 역인 여진구와는 형제 관계로 등장했고 2037년에선 박호수 역의 이기광과 항상 붙어 다니며 콤비 플레이를 펼쳤다. 특히 2037년 클론인 우진과 재회하게 된 김준혁의 모습은 ‘써클’의 클라이맥스였다.

“이기광이 조력자였다면 여진구는 제 동생으로 나오고 목표점이었기 때문에 감정이 달랐다. 형제를 만났을 때 느낀 기쁨과 슬픔도 있었지만 ‘1편에서 혼자 고생 많이 했지? 수고했어’라는 마음도 있었다. 동료애다. 여진구는 우선 선하다. 배우가 선하다는 게 다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전 천성이 그런 사람이 좋다. 누구나 좋아할 거다. 솔직하고 깊은 감정을 주는데 그 나이에 노련미도 있고 진짜 프로다.”

‘써클’에서 김강우는 선배급에 속한다. 나이대가 어린 여진구, 공승연, 이기광 등 배우들 사이에서 든든하게 중심을 잡았다. 스스로는 어떤 선배인 것 같냐는 질문에 김강우는 “이번 작품에선 말을 많이 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평소에 말이 없어서 후배들이 봤을 때 무서워할 수도 있다. 근데 제가 연장자가 되어 버렸다. 일부러 편하게 말을 많이 했다. 제가 한마디씩 해야 훨씬 편해진다. 선의의 거짓말이다.(웃음) 일부러 하이라이트 신곡도 찾아 듣고 기광이한테 멤버 얘기도 하고 했다. 서로에 대한 관심이다. 그러면서 이야기가 터지는 거다. 제 성격이 그렇지 않은데 할 필요가 있더라.”

이미지중앙

■ “배우도 직업인…채찍질 필요했다”

미드 등 해외 드라마에 익숙한 젊은 시청자들에게 ‘써클’은 아쉬운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한국 드라마 시장에서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것만으로 박수를 쳐줄만하다. 김강우 역시 쉽지 않은 소재를 한국적으로 풀어낸 스토리에 만족감을 표했다.

“김준혁이라는 인물은 우리 옆에 살법한 인물이다. 그게 깔려있으니까 시청자들이 받아들이는 게 편하지 않았을까 싶다. 좀 더 개선한다면 한국형 SF 시장이 커질 수 있을 것 같다. 돈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국내 최초의 SF 드라마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는 게 뿌듯하다.”

2002년 영화 ‘해안선’으로 데뷔해 벌써 김강우가 연기생활을 한지도 15년이 흘렀다. “돈 벌어야한다. 직업이 배우이니”라며 공백기 없이 활동한 이유에 대해 심플하게 밝힌 김강우는 올해 새로운 출발선에 섰다. 3년간 몸담아 왔던 소속사를 떠나 새로운 곳으로 자리를 옮기며 김강우는 심기일전에 나선다.

“작년에 일부러 힘든 공연을 했는데 그 때 많은 생각을 했다. 큰 꿈을 가지고 배우를 했지만 배우도 직업인이다. 15년 직장생활을 했는데 앞으로 15년을 계획하는 사람은 드물다. 저도 어떤 계기가 필요했다. 반등의 계기가 되어 채찍질이 필요했는데 배우에겐 새로운 파트너를 만나는 것도 그 방법인 것 같다. 신인 때부터 절 아는 파트너라 심기일전할 수 있다는 막연한 믿음이 있었다. 현 소속사(씨제스)에 감사하고 미안할 따름이다. 국내 굴지 대기업에서 지방 소도시 중소기업으로 옮기는 셈이다. 대기업 나가면 고생한다는데.(웃음)”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