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즈 인사이트]저출생 문제, 기업들이 나서면 해결될까

반짝 반등했다지만 불행히도 출생률의 바닥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한국은 이대로 소멸되고 말 것인가? ‘집단자살’이란 섬찟한 용어도 예사로 들먹여진다. 이런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도 정치권은 진영의 밖은 보지 않는다. 지향점이 분명한 정쟁 외엔 관심이 없는 듯 하다.

정부도 부산한 듯 하지만 정밀성에선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다. 캠페인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란 사실은 누구나 알기에 보다 촘촘해져야 하며, 더욱 과감해질 것을 요구한다. 인구전략기획부 신설은 그 출발이 될 것이다.

전쟁이나 무력침탈 같은 안보위기 보다도 국가 구성원이 급속도로 사라져서 자멸해간다는 것. 주택이나 일자리 문제 등 의식주를 구성하는 경제적 조건이 현 위기의 근본 원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경제적 관점 외 사회·문화·인류학적 접근이 시도돼야 한다고들 한다. 초저출생은 서열주의와 차별, 경쟁과잉, 심화된 채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양극화의 누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취업, 결혼과 출산, 보육과 양육, 직장복귀나 재취업 등의 환경이 지금과 같아선 결코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출산과 육아를 사회적으로 축하하고 장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물론 누적된 모순들은 일거에 해결되진 않는다. 하나하나 실마리를 찾고 꼬인 실타래를 풀어나가려는 끈질기고도 정밀하며 때론 과감한 기획과 전략, 노력이 요구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중견기업들이 저출생 문제 해결에 힘을 보태고 있어 반갑다. 수천∼억단위 출산장려금 지급과 육아휴직 보장 같은 경제적 관점의 접근이지만 하지 않는 것보다는 수 천배 낫다. 일각에선 이를 ‘출산부업’ 운운하며 비아냥 거리기도 한다.

기업은 원래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해 사회에 공급하고 구성원의 삶의 기반이 될 물질적 조건을 충족시키는 집단이다. 뭘 더 바랄 것인가.

기업들은 모든 문제를 경제적으로 인식하고 해법을 찾는다는 단점은 있다. 하지만 문제를 단순화하며, 과감하고도 빠르게 해결하려 한다는 게 장점이다. 현대 기업은 이윤 외에도 사회책임이라든가 환경에도 많은 자원과 노력을 할애한다. 기업들의 잇따르는 참여를 응원할 일이다.

freiheit@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