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압박 도구가 환자인가”…서울대병원 휴진 비판한 환자단체
환자단체연합회 성명 “무기한 전체 휴진 이해 어려워”
“왜 환자들이 의-정 갈등 속에서 피해 봐야 하는가”

17일 오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 서울지부 서울대병원분회 조합원들이 집단휴진 철회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이날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한국환자단체연합회(이하 환단연)가 서울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이 “환자들의 피해가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로 쓰고 있다”고 의사들을 비판했다.

환단연은 17일 입장문을 통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가 목적 달성을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했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공의 9000여명이 4개월 이상 의료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며 환자 안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단연에는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GIST환우회, 한국신장암환우회, 암시민연대, 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 한국건선협회,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한국신경내분비종양환우회, 한국PROS환자단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집단휴진에 대한 환자단체들의 우려와 관련해 지난 10일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할 뿐”이라며 “응급실과 중환자실, 입원실, 그리고 치료를 미룰 수 없는 진료 등의 필수 기능에 인력을 보충해 투입할 터이니 환자분들께 피해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환단연은 이에 대해 “비대위는 응급환자·중증환자가 피해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서울의대 소속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비응급이나 중등도(중증과 경증의 중간)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의미인가”라며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봐야 한다는 말인가”라고 물었다.

한편 환단연은 오는 18일 집단휴진을 계획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전날 정부에 의대 증원 재논의를 포함한 요구안을 제시한 것에 대해선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 현시점에서 의대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의협의 요구안은 환자들의 치료와 안전에 대한 고려가 일절 없음을 보여줬다”며 “의협은 의료계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으로 보이고, 그 와중에 의료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책무는 실종되다시피 했다”고 했다.

환단연은 “의협과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당장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며 “환자는 의대정원 숫자,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추진과 관련해 아무 잘못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아프고, 두렵고, 힘든 환자들에게 집단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으로 또다시 고통과 불안과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며 “환자는 휴진을 무기로 삼는 의사들을 도와줄 수도, 함께할 수도 없다. 의사가 필요한 환자가 있다면 의사는 바로 그곳에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brunch@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