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에어인천, 아시아나 화물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사실상 내정
노선 다각화·시너지 기대
에어인천 화물기 [에어인천 제공]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에어인천이 에어프레미아와 이스타항공을 제치고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항공업계와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에어인천이 우선협상대상자로 내정됨에 따라 대한항공은 오는 17일 이사회를 열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이후 에어인천과 매각 기본합의서를 작성하고,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이하 EU) 승인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의 마지막 관문인 미국 경쟁당국의 심사를 통과하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인수를 거쳐 화물사업 매각을 마무리하게 된다.

대한항공은 연말까지 지분 인수 및 화물사업 매각을 끝낸다는 계획이다.

화물 전용 항공사인 에어인천의 작년 매출은 707억4000만원으로, 본입찰에서 경쟁했던 에어프레미아(3750억원), 이스타항공(1467억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편이다.

하지만 화물 물동량 측면에서는 국적 항공사 가운데 7번째로 많은 양을 운송하고 있다. 에어인천의 작년 화물 물동량은 3만9천t으로 에어프레미아(3만t), 이스타항공(9700t)을 웃돈다.

에어인천은 그간 화물 사업 이력을 강조하는 동시에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을 인수함으로써 현재 보유한 화물기 및 화주 네트워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어인천은 현재 자체 화물기 8대와 리스 3대 등 총 11대의 화물기를 운용하고 있다.

에어인천을 비롯해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가 제시한 인수 희망가는 모두 5000억원 안팎으로 유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가와 기존 부채를 합쳐 약 1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필요한 만큼 에어인천은 인화정공을 전략적투자자(SI)로, 한국투자파트너스와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을 재무적투자자(FI)로 삼아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에어인천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를 완료한다면 대한항공에 이어 국내 항공 화물사업 2위로 단번에 올라서게 된다.

작년 기준 에어인천과 아시아나항공의 국내·국제선 화물 물동량을 합치면 80만t 이상을 기록해 인수 후 에어인천의 화물 물동량은 1위 대한항공(153만6000t)을 뒤쫓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에어인천이 중단거리 노선에 집중된 현재의 화물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기체 운용 효율성을 향상해 향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5월 국적사의 국제선 화물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화물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다만 인수 과정에서의 네트워크 손실, 높은 액수의 부채를 떠안아야 하는 점은 향후 성장의 걸림돌로 꼽힌다.

지난해 EU는 화물 운송 서비스의 경쟁이 위축될 수 있다며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 매각을 양사 합병 승인의 조건으로 내걸었다.

대한항공 측은 "아직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 현시점에서 확정된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addressh@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