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트럼프2.0 무역정책, 中경제 목 조른다...“누가 되도 패자는 중국”
트럼프 60% 관세 부과시...중국산 수입품 1%로 떨어질 것
첫 임기 25% 관세 부과로 中 수출액 1600억달러 감소
대선 경쟁 바이든도 대중 강경책
지난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중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왼쪽) 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로이터]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무역정책을 무기화할 것을 공공연하게 주장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해 60%의 대중 관세를 실제 적용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길은 사실상 막힐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2.0’ 무역정책이 위기에 처한 중국 경제에 또다른 ‘치명타’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고한 60%의 대중 고율관세가 부과될 경우 오는 2030년 미국의 전체 수입액에서 중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1%까지 낮아질 것으로 12일(현지시간) 전망했다. 중국의 미국 수입 점유율은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무역 전쟁을 개시하자 2017년 22%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해 14%까지 하락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기업을 미국으로 다시 불러오기 위해 60%의 고율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아무도 본 적 없는 수준으로 우리의 사업체들을 가져가고 있다”며 “(60% 관세를 통해) 우리는 기업과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려 놓을 것”이라고 호언 장담했다.

지난 2018년 25%의 대중 고율관세를 부과한데 이은 ‘트럼프2.0’ 무역 정책인 셈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이 선거의 핵심 이슈라는 점을 잘 알고 있고 대중 강경책이 검증된 승리 비결로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섬유와 전자제품 등 현재 중국이 가격 경쟁력을 가진 분야일수록 고율 관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산 섬유의 2030년 미국 구매 점유율은 20.9%포인트, 전자제품과 관련 장비의 점유율은 16.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25%의 고율관세를 대부분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이후 5년 만에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2135억달러에 그쳤다. 이는 고율관세가 부과되지 않았을 경우 예상치(3710억달러)보다 1600억달러 가량 적은 액수다.

중국 제품의 빈 자리는 동남아시아나 멕시코 등으로부터의 수입으로 대체되지만 대중 수입량 중 상당 부분은 대체 수입선을 찾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중국보다 훨씬 높은 미국에서 직접 생산해야 할 형편이다.

블룸버그는 “특히 중국에서 제품을 만들고 있는 대다수 미국 전자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결국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은 수입품에 대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미국 기업의 ‘리쇼어링(Re-shoring)’에는 성공하겠지만 전체 미국 경제에는 도움이 안 될 것이라는 얘기다.

트럼프2.0 무역정책의 등장은 부동산 위기와 경제 침체로 위기를 겪고 잇는 중국 경제 입장에선 ‘엎친 데 덮친 격’이다. 내수시장에 이어 트럼프2.0 정책으로 대미 수출까지 무너진다면 중국의 경제 성장 엔진은 급격하게 식을 수 밖에 없다.

1월 중국 소비자 물가는 0.8% 하락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된 ‘중국 연례 협의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의) 기존 불균형과 취약성을 고려할 때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다”며 2028년까지 중국 경제 성장률이 3.4%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문제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추가 경제 제재 등 대중 강경책을 꺼내들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중 관계를 재선을 위한 협상 카드로 활용한 반면,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계를 본질적으로 전략적 경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상무부의 고문 역할을 하고 있는 상바이촨 베이징 국제경영경제대학 교수는 “누가 미국 대통령이 되든 둘 다 중국에 있어서는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why37@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