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지난해 경제성장률 5.2%…‘5% 안팎’ 연간 목표치 달성
리창 총리, 다보스포럼서 “중국 경제 전반적으로 회복…성장 중”
재학생 제외 새방식 실업률에 12월 16~24세 실업률 14.9%
6월 역대 최고 21.3%에서 ‘뚝’
“재정활용 부양책 필요”
인구는 14억967만명으로 2년 연속 감소
중국 경제 수장인 리창 국무원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한 모습. 그는 이날 “중국 경제성장률이 당국의 목표치인 ‘5% 안팎’을 충족한 5.2%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AP]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중국이 지난해 경제성장률 5.2%를 기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한 기저 효과에 힘입어 당국 목표치인 ‘5% 안팎’을 달성했다. 그러나 이 같은 목표 달성에도 내수 위축, 부동산 침체, 디플레이션 등 중국 경제가 직면한 리스크는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2023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수치는 중국 경제 수장인 리창 국무원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중국 경제성장률이 당국의 목표치인 ‘5% 안팎’을 충족한 5.2%에 이를 것”이라고 예고한 것과 일치한다. 나아가 블룸버그통신이 전날 발표한 성장률 예상치(5.2%)와 같은 것으로 국제통화기금(IMF·5.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5.2%), 세계은행(WB·5.1%) 등의 당초 전망치와도 유사하다.

중국의 지난해 4분기 GDP도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3분기 성장률 4.9%는 상회했지만, 로이터통신의 시장전망치(5.3%)보다는 다소 낮았다.

지난해 분기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1분기 4.5%로 출발해 2분기(6.3%)에 고점을 찍었다. 이후 3분기(4.9%)에 다소 주춤하다 4분기(5.2%)에 들어서 반등세를 보였다.

지난해 중국의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원년인 2020년(2.2%)과 후반부인 2022년(3.0%)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전 성장률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치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중국의 성장률은 ▷2011년 9.6% ▷2012년 7.9% ▷2013년 7.8% ▷2014년 7.4% ▷2015년 7.0% ▷2016년 6.8% ▷2017년 6.9% ▷2018년 6.7% ▷2019년 6.0% 등 6∼9%대를 보였다.

17일 중국 동부 산둥성 칭저우의 한 공장에서 직원들이 휠로더를 생산하는 조립라인에서 일하고 있다. [AFP]

중국 GDP는 2021년에는 크게 위축된 2020년의 기저효과에 힘입어 8.4%로 깜짝 반등한 바 있다. 이듬해인 2022년(3.0%)의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위드 코로나’ 원년인 2023년의 성적표는 기대에 다소 못 미쳤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난해 연간 소매 판매는 전년 대비 7.2% 증가했고 연간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4.6% 늘어났다. 2023년 한 해 산업 생산은 전년에 비해 4.6% 증가했으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0.2% 올라갔다. 지난해 한해 중국 실업률은 5.2%로, 12월 실업률은 11월(5.0%)보다 0.1% 포인트 증가했다.

중국은 이날 새로운 방식의 연령대별 실업률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난해 12월 재학생을 제외한 16~24세 청년 실업률은 14.9%로 나타났으며 25~29세는 6.1%, 30~59세는 3.9%를 각각 기록했다.

중국의 청년(16∼24세) 실업률은 지난해 6월 21.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7월 통계부터는 발표가 중단됐다. 중국이 이번에 발표한 통계는 중고교, 대학 재학생을 제외한 실제 구직자를 대상으로 통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일각에선 부정적인 통계 수치를 낮추려는 의도가 담긴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23년 1인당 가처분 소득은 3만9218위안(한화 약 729만원)으로 명목상 전년 대비 증가율 6.3%, 물가 요인을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6.1%를 각각 기록했다고 국가통계국은 밝혔다.

중국 중앙 후베이성 우한(武漢)의 장강(長江) 옆 한커우(韓口) 공원에 시민들이 동상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총인구는 14억967만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8만명이 감소했다. 중국의 인구가 감소한 것은 재작년 이후 2년 연속이다.

이에 대해 국가통계국은 2023년 경제에 대해 “복잡하고 엄중한 국제환경과 대내적 어려움 속에서도 내수 확대, 경제 구조조정, 신뢰도 제고, 리스크 방지 등을 통해 경제의 안정적인 발전을 이뤄냈다”고 총평했다.

중국 경제는 당국의 각종 경기 부양책을 쏟아내면서 일부 긍정적인 신호도 나타나고 있지만, 내수 위축 속에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디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는 등 다시 경제회복 동력이 약해지는 징후도 감지되고 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들이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을 4.4∼4.7%대로 전망하는 등 올해 중국 경제가 더 둔화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애널리스트들의 견해를 근거로 “중국 당국이 올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려면 더 강력한 재정 활용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yckim6452@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