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출가 김풍년 “연극은 소소하고 평범한 모든 삶을 위한 헌사” [인터뷰]
‘싸움의 기술…’ 6월 초연후 버전업
장기를 소재로 삶·용서 등을 다뤄
김풍년 연출가는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세상’에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은 이야기를 던진다. “누룩이 익어 술이 되는 과정”을 보며 연극 ‘누룩의 시간’이 태어났고, 뜨거운 아스팔트 위 애벌레를 보며 ‘터키행진곡’을 써내려갔다. “무림의 고수를 찾아 싸움의 방식을 배우는” 연극 ‘싸움의 기술 : 졸 2.0’에선 장기판에 앉은 뒷방 늙은이들을 다룬다. [예술경영지원센터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작고 미천한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서캐’(‘강릉서캐타령’), 혹은 ‘누룩’(‘누룩의 시간’), 아니면 ‘애벌레’(‘터키행진곡’) 같은 것들.

“한 여름 아스팔트 위를 걷고 있었어요. 빨리 버스를 잡아야 하는데, 애벌레 한 마리가 있더라고요. 아스팔트에서 태어난 애벌레는 그곳을 탈출해 더 뜨거운 석양으로 뛰어들어요. 그래, 너는 나비가 돼 날아라. 그렇게 생각했어요.”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세상’에 ‘아닌 밤중에 홍두깨’ 같은 이야기를 던졌다. “누룩이 익어 술이 되는 과정”을 보며 연극 ‘누룩의 시간’이 태어났고, 뜨거운 아스팔트 위 애벌레를 보며 ‘터키행진곡’을 써내려갔다. ‘터키행진곡’은 2022년 백상예술대상 연극상을 받았다.

2019년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떠난 여행에서 경험한 머릿니의 투쟁이 창극 ‘강릉서캐타령’(2022)으로 이어졌다. 그의 작품에선 사소하고 보잘 것 없는 존재들이 거대한 세계로 던져진다. 끝을 알 수 없는 블랙홀에 던져진 하찮은 존재들의 삶은 치열하고 성실하다.

김풍년 연출가의 시선은 이제 장기판으로 향했다.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협력 예술가로 선정돼 선보인 연극 ‘싸움의 기술 : ‘졸’ 2.0’. 지난 6월 초연 이후, 다시 막을 올리며 ‘버전업’ 됐다. 이 작품은 김풍년 연출가의 ‘싸움 시리즈’다. 무림의 고수를 찾아 싸움의 기술을 배우는 이야기다.

‘의외의 장소’에서 김풍년 연출가와 만났다. 서울 송파구의 한 카페. 그는 “오늘 우리가 여기에서 만난 것은 뜬금없는 일”이라며 “우연과 불확실성으로 세상이 돌아가고, 그 안에서 누군가를 만나고 조우하는 것을 불편해 하지 않는다. 그런 이야기를 무대에 담고 있다”고 말했다.

공연 단체 작당모의를 이끄는 김풍년 연출이 담아내는 세상은 작고 특별하다. 누군가에겐 너무도 미미한 존재들이 주인공이 돼 자신들의 세상에서 살고 죽는다.

“도정일 작가의 ‘쓰잘 데 없이 고귀한 것들의 목록’이라는 산문집이 있어요. 책의 제목에 굉장히 많이 공감해요. 그런 것들은 가성비가 좋고, 조금만 잘해줘도 마음을 다 내어줘요. 가진 것 없고, 기댈 데 없는 그들이 가진 상상도 못할 정도의 이야기, 용서와 넉넉함이 있어요.”

연극 ‘싸움의 기술:‘졸’ 2.0’ [옥상훈 작가 제공]

‘싸움의 기술:‘졸’ 2.0’ 역시 이같은 맥락에서 태어났다. 작품의 모티프가 된 사람은 바로 김 연출의 할머니. 그는 “할머니는 아흔이 넘어 한글을 배웠는데,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공부를 했다. 그런데 진척이 없었다. 미나리, 고구마, 어머니와 같은 받침이 없는 단어만 적었다”며 “할머니는 그래도 꾸준히 공부했다. 단 한 번도 화를 낸 적이 없어 늘 답답했는데 지금에 와서 보면 그것이 이긴 거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연극은 ‘장기판의 고수들’을 소환한다. 어쩌면 ‘뒷방 늙은이’이기도 한 무림 고수들. 탑골공원은 한 때 김 연출의 놀이터이자 창작의 산실이었다. 그는 “내무반(작당모의)에 장기 고수가 한 명 있어 초반엔 함께 다니며 장기 두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장기’를 둘 줄도 모르면서 장기를 가져온 연극은 각지의 ‘장기 고수’들을 관객으로 불러왔다. 싸움은 공연 이후에도 이어졌다. “저긴 저렇게 하는 게 아니다”는 보수파와 “연극적 뉘앙스로 이해해야 한다”는 온건파의 유쾌한 말승부도 나왔다. 김 연출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를 보려고 물리학 강의까지 들을 필요는 없는 것처럼 장기를 몰라도 연극은 충분히 볼 수 있다”고 웃었다.

무대는 장기 대국에 ‘생존의 기술’과도 같은 해설을 덧대며, ‘싸움의 기술’을 풀어낸다. 김 연출의 작품엔 언제나 ‘삶의 철학’이 있다. 장기판 앞에 앉은 뒷방 늙은이들이 살아온 시간도 있다. 이 작품은 그런 이유로 “뒷방 늙은이라 폄하됐던 이들을 향한 헌사”라고 한다.

그는 “뒷방 늙은이들은 죽지 않고, 장기판을 펼쳐 길을 찾는다”며 “장기판을 펼치는 순간 이들은 전사가 된다. 그들에게 장기판은 오늘을 살 수 있게 하는 힘”이라고 말했다. ‘싸움의 기술’ 끝엔 ‘용서’를 마주한다. “싸움은 가진 자가 피칠갑해 무력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 아니라 용서를 구하는 일”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연극 ‘싸움의 기술:‘졸’ 2.0’ [옥상훈 작가 제공]

무대 밖 김 연출의 ‘싸움의 기술’은 ‘묵묵한 성실함’이다. 그는 “극작을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어 극본 작업은 오래 걸린다”며 스스로 “산만하고, 불안하고, 질투심이 많은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종종 “내 작품은 후지다”고 생각하고, “어제는 너무 안 써졌는데, 오늘은 잘 써지는 날”을 반복한다. ‘오늘의 필력’은 ‘어제의 방황’의 결과라는 것도 알고 있다.

정답이 없는 길을 가기에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렸는지를 규정할 수 없다. 그는 “이 산을 올랐다가 이 산이 아니면, 다시 저 산으로 향한다”고 말했다. 그 길 위에서 질투와 경외의 대상들을 만난다. 시적이고 아름다운 지문을 쓰는 작가들의 글을 흉내 내려다 실패하고, 그 위에서 다시 “나의 것들을 다져간다”고 한다. 김훈 작가가 너무 멋져 “여름이면 오이지를 먹는” 그처럼, 김 연출도 여름엔 오이지를 담그지만, “맛은 되게 이상하다”고 말한다.

그의 모든 작품들은 주목받지 않아도 성실하게 버텨온 이 땅의 평범한 이들을 위한 ‘찬가’다.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도 흥미롭다. 무대엔 김 연출가의 방대한 관심사가 소소하고 아기자기하게 자리한다.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1번 3악장과 판소리 ‘심청가’를 넘나들고, 기발하고 귀여운 소재와 대사들이 툭툭 튀어나온다.

장기판 승부에 이어 연작이 될 ‘싸움의 기술’은 고수들이 ‘이기는 법’을 알려주는 무대가 아니다. 싸움판인 세상에서 찾아내는 이 ‘기술’은 결국 ‘사는 기술’이다.

“산다는 것은 싸워야 하는 일이에요. 어제의 나와 싸우고, 오늘의 나, 내일의 나와 싸우는 거죠. 어제는 웅크려 있었지만, 오늘은 즐거움과 소중함을 찾아 나를 다독이는 거죠. 싸운다는 건 내 삶을 잘 살기 위해서, 나를 사랑하는 일이에요. 예쁘게 옷을 입고, 칭찬해주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물어보고, 그것을 폄하하지 않으며 오늘을 사는 거예요.”

she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