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인도 법원 뒤흔든 동물 동성애 백과사전
인간 시선 아닌 과학적 분석으로
동물의 다양한 섹슈얼리티 연구
1999년 첫 출간 후 큰 반향
생물학적 풍요/브루스 배게밀,이성민 옮김/히포크라테스

병코돌고래, 사향소, 엘크, 흰꼬리사슴, 치타, 동부회색캥거루, 붉은다람쥐, 카푸친새. 각기 다른 종의 동물이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동성애 동물이라는 것. 이들 종의 커플 결합은 이성애가 아니라 동성애다. 이들은 동성의 짝과 동반자 관계의 모습을 취한다.

동물 동성애는 과학계에서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200여 년에 걸쳐서 동물 동성애를 살펴왔다. 동성애 동물들에 대한 정보는 그만큼 크게 늘어났지만 동물 동성애를 바라보는 시선은 한결 같았다. 이성애와 번식주의를 중심으로 동물들을 해석한 것.

캐나다 출신의 생물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브루스 배게밀의 신작 ‘생물학적 풍요’는 이러한 인간 사회적 해석이 바탕이 된 기존의 생물학 관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과학계에 암묵적으로 통용되고 있던 이데올로기를 폭로하고 그에 기반한 잘못된 해석을 조목조목 비판한다.

‘생물학적 풍요’는 지난 1999년에 처음 출간된 책으로 동물 섹슈얼리티에 대한 백과사전이나 다름없다. 책은 20세기 후반까지 문서화한 450여 종의 동물 동성애 사례 가운데 190여 종의 포유류 및 조류 사례와 파충류, 양서류, 어류, 곤충 등의 동성애 목록을 사진·삽화와 함께 정리했다. 번역서는 최근에서야 국내에 출간됐다.

저자는 그간 동물학과 생물학을 지배해 온 이데올로기가 ‘동물 세계에 대한 인간의 자기 투사’라고 지적한다. 동성애, 양성애, 트랜스젠더를 포괄한 동물의 다양한 섹슈얼리티를 인간의 신념, 감정, 바람 등으로 해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자기 투사는 ▷동성애를 이성애로 추정하기 ▷동성애 활동에 대한 용어상의 부인 ▷부적절하거나 일관성 없는 작용 ▷정보의 누락과 억압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저자는 분석한다.

동성 동물 사이의 성적 활동을 잘못된 성 식별이나 병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로 치부하는 행태는 동성에 대한 혐오를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방대한 현장 연구 자료로 뒷받침한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동물 동성애가 자연스러우므로 인간의 동성애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동물 동성애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간의 동성애 역시 비정상적이라고 결론 내린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이면 인간에게도 인정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오직 동물 동성애의 발생 유무만 따진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같이 동물 동성애를 둘러싼 논쟁이 양극화된 주장으로 단순히 귀결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단순한 논리 도식’에 빠져 있다고 꼬집는다.

저자는 우선 동성애의 의미를 섹스에 한정하지 않고, 구애, 애정, 짝 결합, 육아 등 포괄적인 의미로 넓힌다. 이는 동물 세계에서 일어나는 동성애의 다양한 양태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동물 동성애를 의사소통, 금기, 의례 등 동물 고유의 문화 측면에서도 바라본다. 동물 역시 그들만의 고유 문화를 형성하며, 동물 동성애가 생물학적·문화적 차원에서 결합해 수많은 형태와 변형, 독특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저자는 동물 동성애 자체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결론 내리는 것을 경계한다. 동성애를 둘러싼 이러한 논쟁은 그저 인간의 주관적인 잣대로 벌어지는 소모적인 논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저자는 동물과 인간 모두에서 동성애 표현의 전적인 복잡성과 풍부함을 고려하지 않으면 동성애라는 현상의 본질적인 성격과 맥락, 종간 비교의 의미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과학계를 지배하는 동성애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책으로 토착 문화를 조명한다. 북미 원주민, 북극 원주민 등의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동물 동성애와 트랜스젠더에 대한 인식은 현대의 과학적인 관찰과 매우 흡사하고 그에 부합하는 성격을 띤다는 것이다. 그는 다(多)성적이고 다(多)성별적인 자연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그들의 포용적인 시각에서 자연을 연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읽어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책은 지난 1999년 출간된 이후 사회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지난 2003년 미국 소도미법 폐지 판결에 인용됐고, 2018년엔 인도 대법원의 동성애 비범죄화 판결에도 배게밀의 분석 자료가 인용됐다. 이는 저자가 방대한 자료 분석을 정치적 언사로 바꾸는 대신 과학적 기록이 스스로 말하는 방식을 택했음을 보여준다.

이현정 기자

ren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