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RB)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3일 0.75%p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했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3.75∼4.0%로 올랐고 한국과의 금리차는 최대 1%까지 벌어졌다.
이번 금리인상까지 FOMC는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밟았다. 사상 초유다. 놀라울 건 없다. 이미 예견됐던 일이다. 물가상승이 멈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도 8.2%나 올랐다. 당분간 더 올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시장은 FOMC의 다음 수순에 더 관심이 크다. 어차피 올릴 거지만 그 폭이 얼마나 될지를 궁금해한다.
파월 의장은 비둘기와 매를 동시에 언급했다. “물가상승률을 2% 목표까지 끌어내릴 수 있을 정도가 되면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했다. 여기까지는 하나마나 한 얘기다. “밥 먹으면 배 부를 것”이란 말과 같다. 그는 “각종 지표를 고려할 때 최종 금리 수준은 지난 9월의 예상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시장은 호들갑을 떨며 반응했지만 그건 수익률 0.01%에도 큰돈이 오가는 투자자들 일이다. 어차피 큰 틀의 변화는 없다. 12월 빅스텝(0.5%P 인상)까지도 예상된 일이다. 해를 넘겨 베이비 스텝(0.25%P 인상)을 밟고 나면 금리인상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고 정속 주행을 하게 될 것이다. 금리 정점은 이미 보인다. 4.5~5%다.
이유는 간단하다. 미국도 주변국들과의 금리 차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금리 차는 안전자산인 미 국채로 돈이 몰리게 만든다. 달러 강세고 곧바로 환율상승 요인이다. 하지만 격차가 너무 커지면 반대가 된다. 자국 통화 약세를 방어하기위해 주변국들이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매도해 가격이 폭락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 중국, 한국이 그러는 중이다. 그럼 연기금들의 자산이 줄어들고(평가손) 이자 급증으로 재정 부담도 커진다. 미국의 금융시장은 물론 경제에도 치명적이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엔 분명 한계가 있다.
중요한 것은 현재 기준금리 3%인 우리의 상황이다. 한미 간 금리 격차는 요주의 변수다. 너무 벌어져선 안 된다. 11월 금통위에서도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는 이유다. 감내 가능한 금리 차를 어느 정도로 볼 것이냐가 금리인상폭을 결정하는 관건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엄청난 가계부채와 취약차주의 증가, 극심해진 기업들의 자금난 등 국내 여건도 고려치 않을 수 없다. 두 변수 사이에 가장 효율적인 접점을 찾는 게 금통위의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