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진원지 인도 · 印尼 現상황은
인도는 이번 신흥국 금융위기의 진앙지다. 경상적자국 중심으로 금융위기 공포가 확산되면서 인도네시아도 사정권에 들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글로벌 자금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통화가치는 속수무책으로 떨어졌다. 이들 국가의 환율 방어를 위한 외환보유액 급감은 위기 안전판 부실로 지목되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다. ▶5대 중병에 휘청이는 코끼리=12억 인구의 인도 경제가 5대 중병을 앓고 있다. 경제성장 둔화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심각한 재정ㆍ경상 ‘쌍둥이 적자’, 그리고 루피화 약세가 그것이다.
실제로 인도 경제는 지난 8년간 8~9% 성장했지만 올해는 5~5.5% 정도로 반토막 날 전망이다. 지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4.8%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2011년 GDP 대비 -3.4%에서 2012년 -5.0%로 적자폭이 확대됐다. 2013년 1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9792억루피로 지난해 4분기보다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큰 수준이다.
달러화 대비 루피화 가치는 바닥 없이 추락해 지난 22일 달러당 65.165루피로 최저치를 경신했다. UBS는 루피화 가치가 달러당 70루피까지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 경기의 바로미터인 센섹스지수는 지난 3개월 동안 8.7% 빠졌다.
인도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은 5.6%에 달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GDP의 3%에 해당하는 돈을 쏟아부은데다 서민 생계를 명목으로 방만한 보조금 제도를 운영해온 탓이다.
외환보유액은 2499억달러가량으로 일부에선 “2주분 수입분을 감당할 정도”라는 전망이 나온다. 외채는 연평균 13.1% 증가했다. 올해 3월 말 현재 인도 외채는 3900억달러(약 437조원)로 외환보유액을 크게 웃돌고 있다.
인도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이후 전년 대비 10%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인도 정부의 정책 실기(失機)는 ‘인도병’을 더욱 위중한 상태로 만들었다. 일례로 인도중앙은행(RBI)은 루피아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유동성 긴축 기조를 보였지만 최근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장기국채를 사들여 시장에 10억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말을 바꿔 시장의 신뢰를 잃었다.
세계적 투자전문가 짐 로저스 회장은 최근 “인도의 환율은 혼돈에 휩싸였고, 정부 부채는 과도하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취한 정책이 희망을 주기는커녕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인도 정부의 외자 규제가 글로벌 기업의 인도 철수를 가속화했다. 지난 7월 미국의 투자 거물 워런 버핏은 인도 손해보험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인도 정부는 버핏의 투자 철수 발표 직전 보험산업의 외자 출자 규제 완화를 표명했지만 버핏의 결정을 뒤집지는 못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포스코와 룩셈부르크의 아르셀로미탈과 같은 세계적 철강 대기업이 제철소 신설 계획을 백지화했다.
▶인도네시아, 외환보유액 급감=인도 다음으로 위기에 취약한 국가로는 인도네시아가 꼽힌다.
인도네시아는 미국 출구전략으로 주가ㆍ통화ㆍ채권가격 하락이라는 ‘트리플 약세’에 시달리고 있다. 인도네시아 증시는 석 달 새 19.9% 폭락했고, 루피아화 가치는 12.5% 떨어졌다. 또 10년물 국채금리는 상승(국채가격 하락)해 지난 22일 2.7%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경상수지 적자가 금융위기 공포를 키우고 있다. 2012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경상수지 적자는 지난 2분기 98억5000만달러로, 전분기 대비 70%가량 불어났다. 역대 최대 상승폭이다. 중국의 경기가 감속하면서 인도네시아의 대(對)중국 원자재 수출이 감소해 무역수지 흑자폭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인도네시아 GDP 성장률은 6.2%를 기록했지만 올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6.0% 성장해 성장세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환율 변동성을 방어하기 위한 실탄이 급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외환보유액은 8월 초 현재 927억달러로 4개월 새 13.6% 줄었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