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영란 선임기자의 art&아트> 하늘서 춤추는 조각…하늘하늘 한편의 詩같구나
18일부터 삼성미술관 리움서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展

‘모빌 창시자’ 최대규모 회고전
스태빌 외 철사조각·드로잉 등
全생애 작품 110여점 총망라

말년 대표작 ‘거대한 주름’‘무제’
야외정원에 마주보며 설치 눈길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기에 모빌은 그저 움직이는 납작한 물체에 지나지 않겠지만, 그것은 어쩌면 시(詩)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고정된 조각만 있던 1930년대 미술계에 ‘움직이는 조각(모빌)’을 선보이며 20세기 조각사에 큰 족적을 남긴 알렉산더 칼더(1898~1976)가 생전에 자주 읊조리던 말이다. ‘자연의 본질은 곧 움직임’이라 간파한 이 선구적 작가는 일평생 철사와 철판을 끼고 살며 대자연의 운동감을 조각으로 표현하는 데 헌신했다.

전 세계 미술교과서마다 ‘모빌의 창시자’로 빠짐없이 소개되고 있는 거장의 작품이 서울에 왔다. 삼성미술관 리움(Leeum·관장 홍라희)은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Calder)’전을 18일부터 10월 20일까지 연다.

칼더는 우리와도 친숙한 작가다. 갓난아기들조차 머리 위에 대롱대롱 매달린 모빌을 보며 생을 시작할 정도다. 그러나 그의 모빌과 예술세계 전모는 오히려 제대로 알려질 기회가 별로 없었다.

리움이 뉴욕 칼더재단과 공동기획한 이번 전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작가 회고전으로, 대표작인 모빌과 스태빌은 물론 초기작인 철사조각과 회화, 드로잉 등 칼더의 전(全)시기 작품 110점이 출품된다. 출품작은 뉴욕현대미술관과 구겐하임미술관을 비롯해 해외 유수의 미술관으로부터 대여해온 것이다. 구불구불 뒤엉켜진 철사더미와 철판, 나무로 가득차 어지럽기까지 한 작업실에서 칼더는 끈질긴 예술실험을 통해 ‘공간성’과 ‘시간성’을 동시에 품은 ‘모빌’이라는 조각을 창안해냈다. 그의 움직이는 조각은 공간예술인 조각에 시간을 더해 ‘4차원적 개념의 새로운 조각’으로 불린다.

칼더는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조각가였고, 어머니는 화가였다. 어린 시절부터 미술에 소질을 보였지만 대학은 엉뚱하게도 공대를 다녔다. 4년간 기술계통에 종사했던 칼더는 타고난 재능을 어쩔 수 없어 미술을 다시 전공했다. 미대 졸업한 후 잠시 삽화가로 일했고, 역동적인 서커스에 매료돼 많은 스케치를 그렸다.

1926년 파리에 도착한 칼더는 낡은 오브제를 철사로 연결해 미니어처 서커스( ‘칼더 서커스’)를 만들었다. 그리곤 이 작은 조각을 움직여 가며 공연을 펼쳤다. 거의 마술적 솜씨였던 것. 그의 공연을 본 몬드리안, 미로, 뒤샹 등은 곧바로 칼더와 가까워졌다. 

알렉산더 칼더의 대표작 중 하나로 리움(Leeum)이 컬렉션한 ‘거대한 주름’. 빨강 노랑 파랑 철판이 바람에 움직이며 아름다운 율동감을 보여주는 높이 7.7m의 대작이다. 세 개의 기둥이 종이학처럼 접힌 게 특징이다. 해외 미술계서 약 300억원대를 호가한다. 1971년작.        [사진제공=삼성미술관 ⓒ2013 Calder Foundation, New York]

그는 철사를 마치 붓 다루듯 자유자재로 다루며 지인과 유명인사, 동물을 표현했다. 인물의 특징, 동세를 딱딱한 철사로 너무나도 잘 만들어 입을 다물지 못하게 했다. 파리 시절 칼더는 추상미술, 초현실주의의 세례를 받았다. 몬드리안과 조우하며 잠시 추상화 작업도 시도했다.

그러나 곧 조각으로 돌아와, 늘 마음에 품고 있던 ‘움직임’에 대한 관심을 집중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하늘의 해와 달, 우뚝 서있는 나무와 꽃을 추상화하기 시작한 것. 그리곤 1931년, 크랭크와 모터를 사용해 움직이는 첫 작품을 선보였는데 이를 본 마르셀 뒤샹이 ‘모빌’로 명명하며, ‘움직이는 조각’은 마침내 이 땅에 태동했다.

이듬해부터는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작품을 천장에 매달아 움직이게 했다. 양감(부피감)과 좌대에서 해방된 그의 하늘하늘한 모빌은 조각의 패러다임을 일거에 바꿔 놓았다. 특히 ‘공간의 예술’인 조각에 ‘시간성’을 더했다는 점에서 모빌은 ‘혁신적인 조각’으로 평가됐다. 이번 전시에는 다양한 초기 모빌과 전성기 모빌, 그리고 스태빌이 두루 나와 그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다. 모빌은 우아하고 아름다운 움직임을, 스태빌은 주변 공간에 활력을 부여하는 조각임도 확인할 수 있다.

작가는 특유의 공학기술을 활용해 공공장소와 잘 어울리는 대형조각들을 제작했다. 이번 전시에도 말년의 대표작인 ‘거대한 주름’(1971), ‘무제(Untitled)’(1976) 등 대작이 리움 야외정원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됐다. (02)2014-6901
 

yrle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