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생생뉴스]외환위기 이후 ‘빚 다이어트’에 들어갔던 아시아 국가들이 다시 부채를 늘리며 ‘빚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럽 및 미국이 정신을 차리고 빚을 줄이려는 것과는 대조적이라며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계속해서 부채를 늘리고 있어 이에따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신문은 24일(현지시간) 부채 비율 증가 현상이 아시아 대륙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면서 아시아의 부채 증가가 또 다른 위기를 유발하거나 아시아의 경제 성장세를 방해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 컨설팅업체인 맥킨지에 따르면 지난해 중반 현재 아시아 신흥국의 공공 및 민간 부채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55%로 금융위기가 일어났던 2008년의 133%보다 상승했다.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인 중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2008년 153%에서 지난해 중반엔 183%로 늘어났다.
노무라의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인 장즈웨이는 “감독 당국의 규제가 미치지 않는 ‘그림자 금융’(shadow banking)까지 포함하면 중국의 부채비율은 200%가 넘을 수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중국 당국과 일부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선 중국 국영기업과 지방정부의 차입이 늘어나면서 중국 경제가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지거나 경기 둔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중국 중앙정부의 부채비율이 20% 정도로 낮아서 중국의 부채 문제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중국 경제 문제는 아시아는 물론 세계 경제 전체에도 엄청난 파급효과를 미친다는 점에서 중국의 부채비율 증가는 세계경제엔 썩 달가운 소식은 아니다.
말레이시아도 부채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말레이시아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2008년 192%에서 지난해 중반 242%로 늘어났다.
일반적으로 위험한 부채비율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고, 아시아의 금융 시스템이 과거보다 선진화돼 있어 아시아권 국가들이 늘어난 부채비율을 감당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WSJ는 그러나 재정위기를 겪은 유럽의 사례에서 드러났듯이 부채를 계속해서 늘릴 수 없을 뿐 아니라, 현재 아시아의 부채비율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도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차입 자금으로 투자해서 경제가 성장하면 차입 자금을 상환할 수 있지만, 성장이 둔화하면 이런 선순환구조가 붕괴해 위기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오바니 델아리시아 국제통화기금(IMF) 이코노미스트는 이에대해 “차입을 통한 경제 성장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위험 신호가 될 수 있다”면서 “GDP 대비 부채비율의 급증은 세 번 중 한 번꼴로 위기가 됐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