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들 고정금리 대출 비중 제자리...유인책 없는 한 비중확대 목표 달성 어려울 듯
주요 시중은행들이 정부의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 발표 이후에도 고정금리 대출을 거의 늘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가 한 동안 계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최근에는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의 전환이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시장에서는 2016년까지 비거치ㆍ분할상환식 고정금리형 대출 비중을 30%로 늘리라는 정부의 권고는 사실상 달성하기 어렵다는 얘기가 벌써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KB,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의 7월 말 기준 고정금리형 대출 비중은 4% 미만으로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전인 6월말과 비교해 거의 변한 게 없었다.

국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 74조9631억원 중 고정금리 대출이 2조7552억원으로 전체 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불과했다. 그나마 3.5%(2조3781억원)에 머물던 6월 말보다 다소 늘어난 것이다. 국민은행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이달들어서도 거의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은행도 주택담보대출 47조3110억원 중 고정금리 대출이 1조2210억원으로, 그 비중은 6월말과 비슷한 2.6% 정도였다. 우리은행은 주택담보대출 42조265억원 중 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0.4%(1700억원)에 불과했다.

하나은행은 고정금리 대출비중이 4%를 웃돌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택담보대출 29조8141억원 중 고정금리 대출이 1조2217억원으로, 4.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시중은행들이 금융감독원에 연도별 고정금리 확대 목표치를 제출한 것과 관련, “올해는 은행 대부분이 5% 미만을 보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신규로 고정금리 대출을 늘리거나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일부 은행은 역마진을 감수하고 낮은 이자의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내놓거나 특단의 유인책을 제시하지 않는 이상 정부가 권고한 목표치를 달성할 방법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한 관계자는 “향후 금리 흐름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 건 고객들이나 은행이나 마찬가지”라면서 “확실한 메리트가 없는 상황에서 고객들은 나중에 갈아타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으로선 고정금리로 유도할 방법이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다른 관계자는 “현재 은행연합회 내 태스크포스팀의 논의결과가 나와봐야 은행들이 어떤 유인책을 줄 수 있는지 알 수 있다”면서 “설정비의 은행 부담, 중도상환 수수료 면제 등 당국이 제시한 방안들이 고정금리 대출을 늘리는데 도움이 될 지 의문”이라고 했다. 지금과 같은 금융환경에서 중도 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면 기존 고정금리 대출을 받고 있는 고객이 되레 변동금리로 갈아타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신창훈 기자 @1chunsim>

chunsim@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