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의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성공으로 온 나라가 환호에 휩싸인 가운데 남몰래 고민에 빠진 곳이 있다. 바로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수년 간 뛰어온 부산이다.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을 치르게 되면서 부산시는 계획을 수정할 수밖에 없게 됐다. 비슷한 시기에 동ㆍ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부산시는 하계올림픽 유치를 2024년 이후 장기과제로 바꾼다는 계획이지만 당장 국내 승인절차를 밟는 것조차 어렵게 돼 난감한 처지에 처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7일 평창의 성공이 확정되자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는 평창의 승리이자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승리”라며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다양한 국제행사 개최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부산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축하했다. 그러나 앞서 지난달 30일 시청에서 열린 시민과의 대화에서 허 시장은 “평창이 성공하면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는 어려운 만큼 2024년이나 2028년으로 목표 연도를 늦춰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 관계자도 “과거 동ㆍ하계 올림픽이 분리된 이후 두 행사를 한꺼번에 유치한 나라는 없다”면서 “이 때문에 부산의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부산은 2002년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각종 경기장과 컨벤션, 숙박시설을 활용하면 올림픽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다고 보고 1997년 10월 올림픽 유치 신청서를 KOC에 제출했다. 2005년 11월 APEC 기간에 하계올림픽 유치를 공식적으로 선언한 부산은 2007년 7월 올림픽유치 범시민지원협의회를 발족하고 시민 120만명의 서명을 받는 등 범시민 운동으로까지 확대했다. 2009년 3월에는 올림픽 유치를 위한 싱크탱크 역할을 할 ‘부산스포츠발전위원회’를 창립하고 남해안권 4개 시도와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지난해 11월 하계올림픽 유치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한 부산은 이후 평창의 성공을 간접 지원하기 위해 하계올림픽 유치운동을 수면 아래에서만 진행해 왔다. 시는 올림픽을 유치하면 7조4381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9만3000명의 고용효과, 3조4733억원의 소득유발, 5조4768억원의 부가가치유발 효과에다 218조6000억원의 수출, 2561억원의 관광수입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평창의 성공으로 부산시의 이런 계획은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장기과제로 돌린다고 하지만 당장 KOC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등 관련 기관과 부처의 승인절차 밟는 것도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또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는 이달 29일까지 IOC에 사전 등록을 해야하고 9월 1일까지 유치의향서를 제출해야하는데 이런 절차를 밟을지도 불투명하게 됐다. 다만, 평창의 성공으로 국제 사회에서 국가이미지가 크게 상승한 데 희망을 걸고 있다. 시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올림픽 유치 일정을 조정한 조만간 공식입장을 밝히기로 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