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지난달 31일 중국을 방문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방중 기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북중 간 정상회담 성사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앞서 리 부위원장은 방중 첫날 쑹타오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나 7차 당대회에 대해 설명하고 북중 간 우의를 확인했다. 그러나 리 위원장이 김정은 위원장의 측근인데다 북한의 대외업무를 총괄하는 만큼 2박3일로 예정된 일정 동안 좀더 윗선을 접촉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그가 시진핑 주석을 만나는지다. 김 위원장의 친서를 선달하거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시진핑 주석 면담은 성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중 관계는 북한의 제4차 핵실험 이후 다소 소원해졌지만 북한 당대회 마지막날 시진핑 주석 명의의 축전을 보내고 최근엔 김 위원장이 북중 농구경기를 관람하는 등 관계 회복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당대회 이후 경제를 강조하는 북한이 중국과 신의주-개성 간고속도로 건설, 신의주 특구 같은 경제협력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도 주목된다. 정상회담은 일련의 관계 정상화 수순의 정점이 될 수 있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리 부위원장이 대규모 대표단을 이끌고 방중한 것을 주목하며 “북중 정상회담을 하려면 사전에 상당히 많은 실무협력이 필요하다”며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차원의 방문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중국과 관계 개선에 나서려는 것은 국제사회 고립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탈출구를 찾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란 설명이다.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미국과 중국은 베이징에서 전략경제대화를 연다. 북한 문제가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미중이 마주앉아 대화를 하기에 앞서 북한이 중국에 먼저 손을 내민 모습이다.
오는 2일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제재결의 2270호에 대한 이행보고서를 각국이 제출해야 하는 시한이란 점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결의에 따라 각자 구체적인 시행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개별 국가들이 제재결의에 동참하고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을 시행한 지금 상황에서 북한이 출구를 모색하는 과정에 있다”며 “6자 회담 재개, 북중 정상회담 등 당대회 이후 정세를 반영해 적극적으로 대외관계를 풀어 보겠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