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수입품 관세율 25%로 인상…한국 수출전선 ‘적신호’

- 中서 美로 가는 한국 제품 타격 불가피…수출 선적시점 조정 필요 -“한중 관세차 활용땐 수출 기회…제 3의 생산거점 모색ㆍ시장다변화할 때”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25%로 인상하면서 한국 수출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미국으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과 중국이 원산지인 제품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관세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미국 상무부는 10일 0시 1분(현지시간)을 기해 2000억 달러 규모 5745개 대중 수입품목의 관세를 10%의 추가 관세율을 25%로 인상하기로 했다. 관세인상 대상품목은 자동차 부품, 중저가 가전, D램 모듈 등이다.

다만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0일 오전 0시 1분 이후 미국으로 출발하는 화물부터 25% 추가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혀 그 사이 협상이 합의에 이를 경우 관세 인상이 수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관세인상 조치로 미국의 대중국 평균 수입관세는 기존 12.4%에서 14.7%로 상승했다.

미국 정부의 조치는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가는 한국제품도 영향을 받게 된다.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 이원석 차장은 “중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 기업과 중국이 원산지인 제품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관세부담이 커졌다”며 “중국이 원산지인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당분간 추이를 보면서 선적 시점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가 장기화돼 중국 전체 수출이 둔화될 경우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의 대중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번 인상조치가 지속될 경우 미국 시장에서 중국 제품과 경쟁하는 우리 기업들은 확대된 관세율 격차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모색해야한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 제품의 경우 미국에서 평균 14.7%의 관세를 부담해야 하는 반면 한국산은 한미 FTA활용시 평균 0.4%의 관세를 부담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원석 차장은 “미중 무역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더라도 양국의 근본적인 갈등관계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에상된다”며 “우리 기업들은 리스크 분산을 위한 제3의 생산거점 모색 및 시장 다변화 노력을 지속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미국의 대중 제재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하는 우리 기업의 대미 가격경쟁력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에서 한국으로 유턴하는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