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달 19일 북한 EMP 공격 대비 첫 부처 차원 회의 개최 - 北 EMP 공격 현실화 엄중한 시기 반영 - EMP 공격 대비 민간분야 대응 방안 수립 [헤럴드경제=최상현ㆍ정윤희 기자]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전후로 한반도의 군사적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북한의 고출력 전자기파(EMP) 공격에 대비해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 논의가 본격 시작된다.

28일 국회와 관계부처 등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다음달 19일 ‘국가 EMP 정책방향 회의’를 개최한다.

국정원은 최근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주요 정부 부처와 민간 연구기관 등에 회의 개최 공문을 발송했다.

북한의 EMP 공격에 대비해 경제 부처까지 함께 모이는 회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 동안 국가주요기반시설을 관리하는 기업체나 행정부처 등이 모여 북한 등의 EMP 공격시 정부기관 방어대책을 수립하고 상호 공유하는 자리는 있어 왔다.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주요 경제 부처와 EMP 관련 민간 기관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 소집 배경에는 지난 3일 북한이 6차 핵실험에서 처음 EMP 공격을 언급하는 등 한반도 주변의 위기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EMP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민간분야 방호체계 구축 확대와 방호시설 효율성 제고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EMP 방호 시설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 절감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 등의 고출력 전자기파 공격시 방어대책을 수립하고 상호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상세 내용은 기밀사항“이라고 말했다.

현재 군대, 경찰 등도 북한의 EMP 공격에 방비가 미흡하고 특히 민간 기업의 경우 방호체계가 더 시급한 실정이다. 원자력발전소, 변전소, 신재생 에너지시설의 방호체계도 미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창균 정보통신산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그 동안 EMP 대응과 관련해 기업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한 적은 있었다”며 “최근 북핵 이슈가 대두되며 정부가 민간의 대응 필요성이 높아져 관련 논의를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MP 공격은 핵탄두나 전자기파 폭탄 등을 공중에서 투하해 강력한 전자파를 일으키는 무기로, 발전소 등 에너지 관련 시설을 포함해 금융전산망, 도로 신호등, 자동차, 휴대전화, 병원, 상하수도 등 생활 밀접 시설을 수초내에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리는 가공할 위력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