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2024. 06. 03 (월)

뉴스속보 리스트

보기옵션 새로고침

뉴스속보 상세보기

강도ㆍ강간치사 형량 최대 15년→50년까지 높아진다

기사입력

살인범죄와 강간ㆍ강도치사에 대한 권고 형량을 크게 높인 양형(量刑)기준이 마련된다.

대법원 양형위원회(위원장 이규홍)는 20일 오후 공청회를 열고 유기징역 상한을 50년으로 높인 개정형법을 반영한 살인범죄에 대한 양형기준 수정안과 사기ㆍ사문서 위조ㆍ마약ㆍ공무집행방해 등 4개 범죄의 양형기준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기존 3가지로 분류했던 살인범죄 유형을 5가지(‘중대범죄 결합 살인’,‘극단적 인명경시 살인’추가)로 세분화하고 권고형량도 높아졌다.

‘극단적 인명경시 살인(살해욕구 충족 위해 무작위로 2명 이상 살해)’은 징역 22~27년을 기본으로 하고, 수법의 잔혹성 등 가중요소가 있으면 징역 25~50년이나 무기징역 이상을 권고한다.

강도ㆍ강간치사 권고형량도 종전엔 가중해도 징역 11~15년이나 무기징역이었으나 징역 50년까지 선고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사기범죄는 유형을 일반사기와 조직적 사기로 분류, 보이스피싱ㆍ사기도박단ㆍ보험사기단 등은 형량을 1~3년 가중하게 했다. 3가지 유형으로 나뉜 공무집행방해는 권고형량을 징역 6월~1년4월로 하고 단체위력이나 위험한 물건 사용 등 가중요소가 있을 때 징역 1~4년을 권고토록 했다.마약범죄도 투약ㆍ단순소지, 매매ㆍ알선, 수출입ㆍ제도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마약 종류에 따라 형량을 정하게 했다.

법관의 자의로 양형이 이뤄진다는 지적에 따라 2007년 4월 가동된 양형위는 앞서 2009년 7월, 1차로 성범죄ㆍ살인ㆍ뇌물ㆍ강도ㆍ횡령ㆍ배임ㆍ위증ㆍ무고 등 8개 범죄의 양형기준을 마련했다. 오는 4월까진 공문서,식품ㆍ보건, 약취ㆍ유인, 절도, 사기, 사문서, 마약, 공무집행방해 등 8개 범죄의 양형기준을 확정한다.

<홍성원 기자@sw927>

hong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