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2024. 09. 20 (금)

뉴스속보 리스트

보기옵션 새로고침

뉴스속보 상세보기

[대예측 2019-글로벌] G2 무역전쟁·긴축…글로벌경제 암운

기사입력

미중 첨단기술·패권경쟁 지속
美 성장률 2.9%에서 2.5%로
中은 6.6%서 6.2%로 둔화 전망
미·유럽 올해도 금리인상 예고
신흥국 외화표시 부채 부담 가중
인도·베트남 7%대 고성장 기대



점증하는 악재 속에 2019년 세계 경제 전망이 어둡다.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심화, 미국 등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유로존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인도와 베트남 등 동남아 신흥국들은 미중 무역전쟁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반사이익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주요 국가들이 2% 성장률에 머무는 데 반해 이들은 7%대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G2 성장률부터 하락=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보호무역 정책을 펴왔다. 지난해 3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을 시작으로 미국과 중국은 각각 2500억달러, 1100억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고율 관세를 물렸다.

양국은 올해 3월1일 이전까지 통상갈등의 돌파구를 찾을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를 무역전쟁의 끝으로 보는 시각은 거의 없다. 미국이 중국에 요구하는 지적재산권, 사이버안보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엔 부족한 시간이다. 또 미국의 목적은 단순히 3500억달러(394조원)의 대중 무역적자를 줄이는 것이 아니다. 미국은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인 5G, 인공지능(AI), 양자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우위를 막으려 한다. 


무역전쟁 장기화는 두 나라의 경제 성장률부터 끌어내릴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무역전쟁과 금융리스크 등을 주요 위협으로 거론하며 미국의 성장률이 지난해 2.9%에서 올해 2.5%로, 중국은 6.6%에서 6.2%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전체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이에 보복한다면 2021년까지 미국과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0.8%와 1% 줄고 세계 GDP는 0.5%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씨티그룹은 무역전쟁으로 올해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반토막 나고 성장률도 1%포인트 넘게 깎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간 저렴한 노동력과 정부 지원, 부채 등을 바탕으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한 중국의 후퇴다.

블룸버그 통신은 “올해 전면적인 무역전쟁이 불거져 지구촌 경제성장·안보가 저해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펼쳐질 위험이 크다”고 분석했다.

스티븐 폴로즈 캐나다은행 총재는 “세계가 ‘순진한 방관자’ 신세가 되고 있다”며 “세계 무역체제가 손상을 입으면 생산능력과 생산성이 항구적으로 타격을 입는 등 삶의 수준이 심각하게 저하될 것이다. 경제불황과 물가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이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돈줄 조이기…신흥국 부담 고조= 미국, 유럽연합(EU), 주요 신흥국들이 금리를 올리거나 양적완화(QE)를 중단하면서 올해 긴축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로 또는 마이너스 수준까지 금리를 낮추면서 풀었던 유동성을 거둬들이면서 10년간의 저금리시대가 저문 것이다.

미국은 지난해 네 차례의 금리 인상에 이어 올해도 최소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다른 나라들의 금리 인상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국의 유로존을 관할하는 유럽중앙은행(ECB)도 매달 자산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를 종료하고 올해 후반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해 추가 긴축에 들어갈 예정인 것으로 관측된다.

선진국들이 경기 회복과 통화량 증가에 따른 긴축을 실행한다면, 신흥국들은 이 같은 외부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금리 인상에 나서야 한다.

미국, 유럽의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에 투자된 자금이 선진국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신흥국의 외화표시 부채의 부담을 더욱 키운다. 이는 다시 미국 경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베트남ㆍ인도 등 7%대 성장세 기대= 미중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성장 둔화가 예상되지만 베트남 등 동남아 신흥국과 인도는 상대적으로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와 인도네시아ㆍ태국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ㆍ베트남 등 아세안 5개국은 지난 2년간 3~6%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였으며 올해도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미중 무역 관세전으로 중국에서 철수한 글로벌기업들이 생산 시설을 이들 국가로 이전하는 것도 성장세 견인에 플러스가 될 전망이다.

특히 ‘포스트 차이나’로 불리는 베트남은 2018년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7.08% 증가했다. 이는 연초 베트남 국회가 제시한 목표치인 6.7%를 초과하는 수준일 뿐 아니라 2008년 이래 10년 만의 최고치다. 베트남은 2017년에도 6.81%의 고성장을 달성했다. 베트남 국가재정감독위원회(NFSC)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6.9∼7.1%에 달해 또다시 기록을 갱신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트남 등 11개국이 참여한 다자간 무역협정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이 본격 발효되면서 베트남은 수출 및 투자가 확대되고 법과 제도의 선진화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이후 7% 안팎의 성장률을 달성한 인도 역시 올해 비슷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들어 국제 유가가 급락한 것도 원유 순수입국인 인도에 호재다.

한희라ㆍ양영경 기자/y2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