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2024. 06. 30 (일)

뉴스속보 리스트

보기옵션 새로고침

뉴스속보 상세보기

“열흘전 단체손님 아무일 없었는데…” 강릉펜션 보일러 연통 언제? 왜?

기사입력

가스누출 사고로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강원도 강릉시 경포 아라레이크 펜션 2층 객실에서 지난 19일 밤 국과수 대원들이 해제한 보일러와 연통을 들고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헤럴드경제=모바일섹션] 강릉 아라레이크 펜션 참사 사흘째인 20일 경찰은 ‘보일러 배기관(연통)이 언제·왜 어긋났나’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춰 수사하고 있다. 이번 참사의 원인 규명을 위한 핵심 열쇠이자 과실 책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경찰 수사본부는 사망 학생 3명의 사인을 어긋난 보일러 본체와 배기관 사이로 누출된 배기가스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실상 결론을 내렸다. 이 때문에 펜션의 배기관이 언제, 왜 어긋났으며, 이를 제때 점검하지 못한 안전관리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밝히는 게 이번 수사의 핵심이라고 전했다고 서울경제가 보도했다.

우선 경찰은 보일러 본체와 배기관이 어긋난 시점, 즉 ‘연통 접촉 불량’이 2014년 보일러 설치 때부터인지, 지난 7월 게스트 하우스에서 펜션으로 변경된 시기인지, 장시간에 걸쳐 벌어진 것인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또 배기관의 규격은 적합했는지, 보일러 점검 주체는 누구인지 등도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이를 위해 경찰은 펜션 업주는 물론 해당 보일러 설치 업체, LP가스 공급업체 등 광범위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사고 현장 합동 감식을 마친 경찰은 지난 19일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보일러를 떼어 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

여기다 사고 학생들이 묵은 201호 객실의 과거 투숙객을 대상으로 투숙 당시 보일러 이상 여부도 조사 중이다. 경찰은 10여일 전인 이달 초 해당 객실에 내국인과 외국인 단체 투숙객이 순차적으로 묵었다는 펜션 업주의 진술을 확보하고 이를 확인하고 있다.

또 해당 객실에 지난 17일 서울 대성고 3학년 학생 10명이 투숙하기 전 열흘간 비어 있었던 점을 확인하고 이 사이에 어떤 작업이 있었는지도 조사 중이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사고가 난 펜션 객실의 보일러 연통이 언제부터, 왜 어긋나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누군가 연통 부분을 접촉했는지를 확인하고자 연통 부분의 지문 감식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