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군 당국은 한국형전투기(KF-X) 사업 개발과 관련해 핵심기술을 미국 외에 제3국으로부터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1일 KF-X 사업과 관련, “핵심기술 이전을 위해 차기 전투기(F-X) 절충교역 합의서를 체결했고 미 정부 수출승인서(E/L·Export Licence) 승인 절차를 진행중”이라며 “한미 정부간 회의체를 통해 KF-X 핵심기술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의중이다”고 말했다.

KF-X 핵심기술 美 외 제3국 기술 도입 검토

이 관계자는 “다만 미 정부 E/L 제한시를 대비해 해외기술협력업체(TAC)와의 별도 하청계약 또는 제3국 TAC 기술지원 등 대안을 마련해 개발에 차질이 없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KF-X 사업을 위해 미국과 협상을 진행하되 미국으로부터 핵심기술 이전이 어려울 경우 제3국 업체로부터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방사청은 작년 10월 F-X 사업 선정 기종 F-35A의 제작사인 록히드마틴과 핵심기술 이전을 위한 절충교역 합의서를 체결하고 미 정부로부터 E/L을 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중이다.

록히드마틴은 17개 분야, 20여개 기술 이전을 약속한 상태지만 미 정부가 승인하지 않는다면 공염불에 그칠 수밖에 없다.

KF-X가 추진중인 적의 레이더파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술만 해도 미국은 자국의 첨단 핵심기술인 스텔스 공법의 해외 유출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일각에선 미국이 능동전자주사레이더(AESA), 표적획득장비(TGP), 적외선탐색추적기(IRST), 전자교란장비인 초고주파 재머(RF Jammer) 등을 기술협력 생산방식으로 블랙박스화 해 제공하는 형태도 거론된다.

핵심기술은 오픈하지 않은 채 조립만 가능하도록 한다는 얘기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록히드마틴과 기술협력을 통해 생산한 T-50과 유사한 방식이다.

방사청은 KF-X의 핵심장비와 관련해 국산화 개발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임무컴퓨터(MC)와 무장관리컴퓨터(SMS)의 경우 KA-1 전술통제기와 한국형헬기개발사업(KHP), 무인기 개발 등을 통해 소요기술을 확보해 국내독자개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AESA 레이더는 체계발과 초도양산 제품에 시험개발을 통해 개발한 안테나 등의 부품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적외선탐색추적기 역시 함정용 IRST 개발과 KHP 응용연구에서 축적된 기술을 활용해 국산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방사청은 KF-X 사업에서 제기되는 기술적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업관리를 전담하는 ‘보라매사업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방사청 고위관계자는 “방사청과 공군을 주축으로 70여명이 참여하는 보라매사업단을 구성키로 했다”면서 “보라매사업단은 KF-X 사업관리를 전담하는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KF-X는 개발비와 양산비를 포함해 18조원대의 대규모 국가예산이 투입되고 첨단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국내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면서 “구성 시기는 올해 6월 체계개발 업체와 계약을 체결한 이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라매사업단장은 방사청 항공기사업부장인 백윤형 공군 준장이 맡고 체계총괄팀, 체계개발팀, 국제협력팀으로 구성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