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우리나라 수출의 중국 의존도가 사상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수출액 5597억 달러 중 4분의 1 수준인 1460억 달러(26.1%)가 중국 수출액인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21.8%로, 처음으로 20%를 넘어선 뒤 2010년 25.1%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2011년 24.2%, 2012년 24.5% 등으로 2년 연속 25%를 하회하다가 지난 해 다시 큰 폭 오름세로 돌아섰다.

품목별로는 휴대전화 부품과 반도체, 자동차부품, 자동차 등이 수출을 주도했다.

대한민국, 수출 5597억 달러 중 對中 비중 1460억 달러…사상 최고 수준

이렇게 수출이 늘어나면서 지난 해 중국에서 거둔 무역수지 흑자는 606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체 수출 흑자규모 442억 달러보다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문제도 생겼다. 중국 시장 변동의 ‘버터플라이 효과’가 우리나라 수출 전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중국 경제정책 기조가 그동안 ‘양적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변화돼 국내 수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생겼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7.7%로 1999년 7.6% 이후 최저치였던 2012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올해는 이보다 낮은 7.5%가 될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수출 시장 다변화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은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나라 수출이 1.3% 감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디스플레이, 반도체,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될 경우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더 커질 수밖에 없어 중국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 대 중 수출이 주로 원자재와 자본재인 상황이지만 현재 중국이 내수 소비진작을 도모하고 있는 상황이라 소비재 수출 비중을 늘려야 하고, 중국 외 인도, 브라질 등으로 수출선을 다변화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