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카카오가 올해 본격적으로 O2O(온·오프라인연계)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 행보가 순탄치 만은 않다. 카카오 드라이버는 출범 과정에서 진통을 겪고 있고, 카카오 택시는 수익성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카카오가 대기업집단에 포함되면서 향후 사업 방향을 두고 셈법도 복잡해졌다.

우선 카카오의 대리기사 호출 서비스 ‘카카오 드라이버’가 출시를 앞두고 잡음을 빚고 있다. 이는 전국대리기사협회가 수수료 20% 정책에 불만을 표시하면서 촉발됐다. 중간 콜센터 운영 비용이 절감되는 것을 감안하면 수수료를 인하할 여지가 충분하다는 것이 이유다. 급기야 협회 측은 지난 3일 성명을 통해 “카카오드라이버와의 MOU 체결을 보류한다. 자문위원회 참여도 미루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또 다른 대리기사 단체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과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의 경우 카카오 측과 원만히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대리기사협회가 입장을 굽히지 않고 독자적인 노선을 유지할 경우, 대리기사 단체들 간의 갈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카카오의 O2O 광폭 행보, ‘순탄치 않네’

앞서 카카오는 기존 대리운전 사업체들의 반발을 딛고 카카오 드라이버를 준비해왔다. 기존 업체들의 횡포에 반발한 대리 기사들의 지지가 한몫을 했다. 우군이었던 대리기사 일부가 돌아선 상황이 카카오 입장에선 당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게다가 O2O 서비스를 ‘골목상권 침해’로 보는 시선이 많은 상황에서, 대리기사들과의 갈등이 불거지는 것에도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카카오 드라이버 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대화는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수수료의 경우 기존 업계에 비해 합리적이라고 호응해주시는 분들도 많기에, 지금으로선 수수료 인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면서 “수수료 인하보다는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통해 만족도를 높이는 쪽을 검토하고 있다. 최대한 많은 분들을 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준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카카오와 대리기사 단체들이 최종 합의에 이르는 시간을 감안하면 5~6월은 돼야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 카카오 측은 “상반기 중 출시 예정”이라며 시기를 특정하지 않았다.

카카오의 대표 O2O 서비스 ‘카카오택시’는 수익 모델을 두고 고심에 빠졌다. 카카오택시는 카카오의 성공적인 서비스로 꼽히지만, 동시에 애물단지이기도 하다. 당초 콜비 없이 운영한 것이 지금까지 유지되면서 정작 수입원 노릇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경쟁 업체들의 공세도 거세다. T맵 택시는 멤버십을 연동한 할인 정책을, 우버는 프리미엄 택시 서비스를 내세워 ‘카카오택시 잡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카카오는 올해 중으로 수익 모델을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그 방식이 콜비를 부과하는 형태가 될 지, 카카오페이 등을 연계해 우회적으로 수익을 내는 방식이 될 지는 알 수 없다. 콜비를 매기는 방식은 자칫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우려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카카오택시 관계자는 “수익 모델을 도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은 맞다. 하지만 언제, 어떤 방식이 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최근 ‘대기업’ 꼬리표가 붙으면서 카카오가 O2O 서비스에서 지금과 같은 광폭 행보를 이어갈 수 있을 지에도 의문부호가 붙는다. 지난 3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카카오를 편입시켰다. 인터넷 기업 최초로 대기업 반열에 올라선 것은 의미 있지만, 규제에 발목이 잡혀 성장이 정체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해야 하는 숙명의 O2O 서비스에 주력하는 입장에선 난감한 면이 있다. 미용실, 주차, 홈서비스 등 카카오가 계획 중인 O2O 사업들이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탓이다.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된 분야의 사업을 강행할 시 법적 제재는 없지만 사회적 지탄을 받을 우려가 있다. 카카오 측은 “당장은 영향 받는 것은 없다. 공정한 경쟁으로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것”이라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