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 中 접경지대를 가다-본지 신대원 기자 단둥~훈춘 1,500㎞ 르포

政冷經熱 피부로 느껴져 北, 對中무역 급증 작년 65억弗 통계 안잡혀도 원유 지속 공급 동북3성 경제활성화 中도 만족 中, 황금평보다 나선지구 더 관심

훈춘세관 생필품 실은 入北차량 365일 북새통

[단둥ㆍ훈춘=신대원 기자] 김정은 체제와 시진핑(習近平) 체제가 출범한 뒤 북중관계는 이전의 혈맹관계와는 딴판으로 변했다. 적어도 정치분야에서만큼은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후퇴했다. 북한이 김일성·김정일 생일, 당 창건일(10월10일) 등과 함께 ‘사회주의 명절’로 기념하고 있는 정권 수립일인 9일, 발간된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노동신문은 시 주석의 축전을 3면에 배치해 소원해진 북중관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김정일 시대 노동신문은 중국 최고지도자의 축전을 가장 앞에 배치했다. 노동신문이 이튿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축전을 1면에 실은 것과도 온도차가 나는 대목이다. 중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2013년 3차 핵실험을 감행하고 친중파인 장성택마저 처형하면서 북중관계는 후폭풍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분야에서만큼은 예외다. 북한이 세 차례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로부터 고강도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도 중국은 북한과의 경제교류 협력사업을 중단하지 않았다. 중국은 북한에 있어 사실상 유일한 산소호흡기다.

압록강에서 두만강으로 이어지는 1500여㎞에 이르는 접경지역내 북중 경협사업은 동고서저(東高西低) 양상을 보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달궈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압록강 하구인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서부터 두만강 하구인 지린(吉林)성 훈춘(琿春)에 이르기까지 북중간 경제교류 협력은 전례없이 활발한 편이다.

특히 1년 365일 가동되는 훈춘의 취안허(圈河)세관은 중국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시멘트와 철재 등 건축자재, 생필품 등 공산품을 실은 차량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전체 교역액 가운데 중국과의 교역은 70%를 차지했다. 북한의 대중무역 규모도 2005년 15억달러 수준에서 2011년 56억달러, 2012년 60억달러, 그리고 지난해 65억4500만 달러 수준으로 성장했다.

이상숙 국립외교원 교수는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는 일반 무역거래까지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며 “중국은 2013년 상반기에는 북한과 교역을 제한했으나 2013년 하반기부터는 오히려 수출입을 확대해 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도 공식적 통계에서는 중단된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압록강 하저에 매설된 11㎞ 길이의 송유관을 통해 평안북도 피현군 백마지역에 있는 원유 저장시설로 원유가 지속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중간 정냉경열 양상은 동북3성 개발계획을 추진중인 중국과 경제회생을 도모중인 북한의 상호이익이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북중 접경지역에서도 지역에 따라 경협 수준의 차이가 감지됐다.

중국은 북한이 공들이고 있는 압록강 유역의 황금평·위화도 특구보다는 러시아와 인접한 두만강 유역의 나선경제무역지대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옌지(延吉)에서 만난 중국의 한 대북전문가는 “중국 정부나 기업 입장에서 위화도나 황금평은 나진·선봉보다 메리트가 약하다”며 “황금평과 위화도는 북중 양자가 정치적으로 풀어야할 부분이 있는데 북중관계가 지금 조정기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