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재외 한글학교에 지원되는 운영비를 늘리고 수요 중심의 맞춤형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심윤조 의원은 재외동포재단의 2014년도 한글학교 교사 초청연수에 참가한 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한글학교 운영실태 파악 및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를 자체 실시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한글학교는 재외동포 사회에서 자생적으로 설립, 교사들의 자발적 봉사로 운영되는 주말 또는 방과후교실 개념의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전세계 116개국 1900여개 학교에서 10만6000여명의 동포 학생들이 한글을 배우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어ㆍ역사ㆍ문화 교육 확대를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 한글학교에 대한 정부 지원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왔다. 실제 한글학교 지원예산은 지난 2013년도부터 꾸준히 올라 집행액 기준 연평균 10% 이상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글학교 운영에 필요한 정부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설문조사 결과 정부의 한글학교 지원사업에 따른 운영비 지원금이 학교 전체 운영비의 20% 미만이라는 학교가 42%로 가장 많았고, 20~40%라는 응답도 27%에 달했다. 한글학교 3개 중 2개는 운영비 40% 미만의 운영금을 지원받는 셈. 반면 정부 지원금의 적정 수준은 전체 운영비의 40~60%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많았다. 이는 최소한 운영비의 절반 정도는 정부가 지원해달라는 요구를 보여주공 있다.
한글학교 운영에 따르는 어려움은 생각보다 다양했다. 운영비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은 응답이 29%로 가장 많았지만 교실 장소 마련의 어려움(20%), 교사 수급의 어려움(19%), 적절한 교재의 부족(16%)도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교사에 대한 재교육·연수를 꼽은 비율이 45%로 가장 높아 별도의 직업을 갖고 봉사 개념으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글학교 교사들의 고민을 반영했다.
초등학생이 다수인 학교가 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교과서와 함께 한국의 위인을 소개한 만화영화나 전래동화 그림책과 같이 한국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면서 한국어의 실제 활용도 배울 수 있는 다양한 부교재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심 의원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한글학교 운영비의 증액 못지않게 수준별·지역별로 세분화된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정부는 차세대 동포들의 한국어 교육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수요 중심의 맞춤형 정책을 마련하여 이들이 한민족의 긍지를 갖고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