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주말 넘으면 사직 동참”…전공의 이어 남은 의료진도 사직 압박
전공의 이어 전임의·교수도 집단행동 동참 움직임
의료계 “2월 말 지나면 의료공백 심화될 것” 경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나흘째 이어지는 23일 충북대병원 응급실에 진료 제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확산일로다.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의 약 80%가 사직서를 제출한 가운데 이달 말 계약기간이 종료되는 상당수의 전임의도 재계약하지 않는 것으로 사실상 집단행동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의과대학 교수들마저 이번 주말 이후 집단행동에 동참한다는 의사를 밝혀 ‘의료공백’이 점입가경에 빠질 위기다.

2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이달 말로 계약 기간이 종료되는 상당수 전임의가 병원과 재계약하지 않는 방식으로 의료 현장을 떠나는 걸 고려하고 있다. 의사 커뮤니티와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이달 말이 의료공백의 분수령’이라는 글이 다수 올라오고 있다. 현재 계약 시점이 맞물린 전임의들이 자연스럽게 재계약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의 집단 행동에 동참해 의료공백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라인드에서 의사 A씨는 “전임의(펠로)들이 다 나가고 신규 펠로들이 계약 안 하면서 3월 초 교수들이 힘들어지고 3월 초·중순이면 2차 병원, 그 이후 로컬(개원의)까지 완전히 마비될 것”이라고 쓰기도 했다. 전임의란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딴 뒤 병원에 남아 1~2년 세부 과정을 거치는 이들로 임상강사·펠로 등으로 불린다.

수도권 병원에 소속된 전임의 B씨는 “정부의 강대강 기조가 젊은 의사들에게 큰 자극을 주고 있다”라며 “전공의만 떠나는게 아니라 곧 전임의들도 계약을 거부하는 식으로 개인 행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의사회 소속 의사들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궐기대회를 하고 있다. [연합]

또 의과대학 교수들마저 집단행동 참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들이 구성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전날 “이번 주말이 (의료대란)사태의 골든타임”이라며 정부에 “전공의들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이들과 행동을 같이하겠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비대위 측은 “주말 동안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한다면 누구도 해결할 수 없는 파국이 닥칠 것”이라며 “제한적이나마 돌아가고 있던 병원의 진료가 이대로 간다면 열흘도 버티지 못할 것이다. 파국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활동 중인 비대위를 전국 단위로 확대 재편하고, 전국에서 구성 중인 상급종합병원 비대위와 함께 움직이겠다”라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정부가 열린 마음으로 대화에 나서 수준 있는 토론을 통해 국민건강·의료를 위한 최적의 방안을 함께 만들고 실현해 나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정부와 의료계 간 갈등이 좁아질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하고, 업무 미복귀 전공의에 대해 즉시 출석 요구·영장 발부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전날 보건의료재난 경보단계를 위기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구성한 바 있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