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취약부문 충격, 다른 업권으로 전이 가능”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위한 간담회
업권간 상호연계성 확대에 주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 정례화 등 제안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금융리스크가 커질 경우, 취약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타 업권까지 번질 수 있다며 경계감 섞인 목소리를 내놓았다. 금융당국은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을 위해 위기대응을 위한 프로그램 정례화, 유동성 지원장치 강화 등을 다각도로 모색할 전망이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8일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관련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 부위원장은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산업 부문에서도 잠재부실 현재화, 자금조달 여건 악화, 자산가치 하락 등의 리스크가 우려된다”며 “‘예상치 못한 새로운 위험’, ‘위험의 축적’, ‘업권간 상호연계성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특히 업권간 상호 연계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취약부문에 발생한 충격이 업권간 전이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업권 간 상호거래는 작년 9월 기준 총 3191조원에 달한다. 비은행권간 거래가 1906조원, 은행-비은행 간 거래는 1137조원에 이른다.

이날 주요 전문가들은 적극적인 위기대응·유동성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정례화, 유동성 지원 장치 강화, 부채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위험, 기업어음(CP)금리 상승 등에 따른 단기자금시장 경색, 환율변동에 따른 환손실 위험 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주식, 채권, 외환시장별로 위기 대응 프로그램을 정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도 “급격한 금리상승, 부동산시장 정상화 과정에서 금융회사의 일시적 유동성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지원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준비 중인 예보의 금융안정계정 등 추가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업권별로 리스크에 대한 온도차도 있었다. 박해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사는 운용자산 수익률 악화, 지급여력(RBC) 비율 하락이 우려된다”며 “환헤지 비용 상승 및 취약차주 신용리스크 증가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은행권의 경우 손실흡수 능력 제고 등을 고려할 때 우려할 수준이 아닌만큼 사회공헌 차원에서 취약계층 채무조정 등에 적극 참여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