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고물가는 유동성 잔치 끝내야 한다는 신호

물가가 벌써 넉 달째 2%를 훌쩍 넘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밥상물가 억제대책을 세우겠다고 호언하며 하반기로 갈수록 안정될 것이라는 희망성 발언을 쏟아내지만 미덥지 않다. 이미 많이 풀린 돈 때문에 생기는 추세적 물가 상승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6% 상승했다. 올 들어 1~3월 0.6~1.5%의 상승률을 보이던 물가는 4월에 2.3%로 2%대에 올라 선 후 5월엔 2.6%로 9년 만에 최대폭 상승 기록으로 나타났다. 6월에 2.4%로 잠시 숨고르기를 하더니 한 달 만에 다시 5월 수준으로 복귀했다.

정부는 날씨와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신선물가 상승과 국제유가 상승을 유독 강조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그건 다양한 원인 중 일부일 뿐이다. 반짝 상승이 아니란 얘기다. 달걀(57.0%), 마늘(45.9%) 등의 가격이 많이 오른 건 사실이지만 그건 전체 물가 상승률을 0.76%포인트 끌어올렸을 뿐이다. 심지어 전월(6월)에 비하면 오히려 떨어졌다. 석유류 가격도 전년 동월 대비 19.7%나 올랐지만 전체 물가에 미친 영향은 역시 0.76%포인트에 불과했다.

하지만 날씨나 국제유가와는 아무 상관 없는 개인 서비스가 2.7% 상승해 전체 물가를 0.87%포인트 높였다. 물가 상승 영향력이 가장 컸다. 여기에다 집세가 전세·월세 할 것 없이 많이 올라 나머지 상승분을 채웠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하고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를 봐도 상승률이 1.7%다.

결국 올 들어 오른 물가의 절반가량은 수요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 원인은 말할 것도 없이 넘쳐나는 유동성이다. 오랜 저금리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 상태에서 지난해부터 재난지원금으로 60조원 가까운 돈이 더 풀렸다. 지금도 10조원 넘는 5차 재난 지원금이 방출 대기 중이다. 이런 상태에서 시중에 풀린 돈은 물가를 더 자극하게 마련이다. 지원금 제공 효과가 줄어든다는 얘기다. 금리 인상 이전에 돈을 풀어보려는 정부 여당의 의도를 모르는 바 아니지만 그럴수록 선별 지원의 필요성만 강조하게 된다.

고물가는 유동성 잔치를 끝내야 한다는 신호다. 과잉 유동성의 해결책은 금리 인상이다. 이미 방향은 결정됐고 시기만 남겨놓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연내 시행 가능성을 언급했다.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고승범 위원은 금리 인상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나온다. 시장을 좀 더 지켜보자는 의견이 다수여서 기준금리가 동결됐을 뿐이다. 올 게 오고 있다. 모두가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