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2.6% 물가상승이면 심리전 아닌 현실대책 필요

통계청이 2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다. 지난 2012년 4월(2.6%) 이후 근 10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저효과에 농·축·수산물 가격 폭등, 높은 유가까지 겹친 결과라지만 고공행진 수준이 심상찮다.

올 들어 물가상승 곡선은 거의 ‘J커브’다. 1월만해도 0.6%에 불과했지만 2월 1.1%, 3월 1.5%에 이어 4월 2.3%, 5월 2.6%다. 2개월 연속 2%를 넘겼으니 6월에 다소 진정된다 해도 2분기 물가상승률은 2%를 웃돌 게 분명하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를 넘기는 게 기정사실이라는 얘기다.

이쯤 되면 물가는 이제 예의주시할 수준이 아니라 대책이 필요한 단계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도 심리전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통계청의 공식 물가 발표 하루 전인 1일, 이례적으로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기저효과 등으로 2분기 중 일시적으로 (물가상승률이) 2%를 상회할 가능성이 크지만 하반기부터는 기저효과가 완화되고, 농·축·수산물의 수급 여건 또한 개선돼 연간 기준으로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상회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인플레이션 우려를 조기 차단하겠다는 정부의 의도를 모르는 바 아니다. 정부로선 당연히 취해야 할 입장이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일시적인 수준을 넘는다는 점이다. 식료품을 비롯한 가격은 이미 오를 대로 올랐는데 물가가 계속 상승한다는 건 일정 부분 기저효과를 고려해도 인플레 압력이 엄존한다는 의미다. 가격상승 요인이 공급 부족에서 수요 증가로 넘어가는 것으로 봐야 한다.

사실 물가상승은 글로벌 추세다. 4%를 넘어선 미국은 그렇다 치고, 유로존 국가 모두 3년 만에 2%를 넘겼다. 심지어 독일은 5월 물가상승률이 2.5%로, 10년 만에 최고다. 미국과 유럽은 우리보다 백신 집단면역이 빠르니 보복소비의 물가상승 압력은 더 높아진다. 이제 물가상승과 인플레는 현실이란 의미다.

부채왕국인 우리에게 물가상승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건 물론이고 자산가치의 하락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금리상승으로 거품이 빠지는 과정은 고통스럽다. 하지만 피할 수 없다. 나중에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축통화를 보유한 미국과 유럽은 기준금리 인상 이전에 채권 회수 물량 조절이라는 완충 단계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금리인상 이외의 통화정책 수단이 없다. 경제 주체 모두가 금리인상을 준비해야 한다. 높은 물가상승률보다 강한 금리상승 메시지는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