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에도 부자는 ‘자동차’ 중산층은 ‘가전’ 바꿨다
작년 2분기 실질 내구재 소비 20%↑…2008년 금융위기와 대조
코로나, 대면소비 8% 줄였지만 비대면소비 4% 늘려
한국개발연구원(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이 11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보고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의 분석결과를 설명하고 있다.[KDI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코로나19로 대외활동이 크게 제약됐던 지난해 부자들은 자동차를, 중산층은 가구와 가전을 각각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코로나19 집단면역이 가시화되기 전까지 소비가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완화적인 거시경제정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은 11일 발표한 보고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에서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던 지난해 가계의 소비행태가 과거와 달랐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대면소비 제한·기피가 가계의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으로 가계의 총소비를 4.4% 줄였다고 봤다. 코로나19가 대면소비를 8.4% 감소시켰지만 비대면소비를 4.3% 늘리면서 총소비감소 일정 부분을 상쇄했다.

대면소비 비중은 지난해 65.5%로 2011~2019년 평균인 68.5%보다 3%포인트 작아졌고, 비대면소비 비중은 같은 기간 31.5%에서 34.5%로 커졌다. 통상의 경제위기에서 가계는 내구재 구입을 미루는 등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지만 지난해에는 지출 총량을 줄이기보다 대면소비를 비대면소비로 바꾸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내구재 소비로 나타났다. 가계의 실질 내구재 소비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4분기에 전년동기 대비 10.2% 감소했지만 지난해 2분기에는 19.7% 증가했다.

지난해 가계의 소비지출은 2.8% 줄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만 2.8% 늘고 나머지 분위에선 모두 줄었다. 증감률로 보면 중간층인 3분위가 -6.8%로 가장 크게 줄었다. 시장소득이 줄어든 반면 정부의 선별 지원 대상에서 배제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는 소비지출을 0.8% 줄이는 데 그쳤다.

일상적인 소비가 어려운 상황에서 부자들은 대신 내구재를 샀다. 가계의 평균 내구재 지출은 16.4% 늘었다. 5분위가 19.6%나 지출을 늘린 결과다. 내구재 중 자동차 등 운송기구 관련 지출은 17.2% 늘었다. 5분위에서 지출을 27.4%나 늘리면서 일방적으로 증가율을 끌어올렸다. 가구·가전 소비도 15.1% 늘었다. 다만 3분위가 3.2%, 4분위기 5.5%, 5분위가 6.5%를 고루 늘려 나타난 결과다.

이들은 코로나19가 예상보다 빠르게 잦아들 경우 올해 가계소비 증가율은 예상했던 것보다 0.5%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이 경우 대면 소비의 비중이 빠르게 늘고 비대면 소비의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등 코로나19 상황에서 나타난 소비구성의 변화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집단면역이 가시화되기 전까지 소비가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완화적인 거시경제정책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낮은 이자율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을 완충하고 있으므로 당분간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통해 가계소비를 비롯한 경기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첨언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