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더스칼럼] 주민참여 스마트팜 만들자

스마트폰·스마트TV처럼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치 앞에는 ‘스마트’라는 단어가 붙는다. 농업 분야에서는 대표적으로 ‘스마트팜’을 꼽을 수 있다. 스마트팜은 농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단계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데이터에 기반해 온도·습도·조도 등 최적의 생산환경을 제공하고 천재지변과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농산물 품질을 높이고 수확량도 늘릴 수 있다.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원격관리가 가능해 생산 및 이력관리가 용이하며 투입되는 노동력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스마트팜 단지 조성은 정부에서 중점 추진 중인 디지털뉴딜·그린뉴딜에 맞는 사업모델이기도 하다. 우리 농업이 처한 개방화·고령화 등에 따른 농가소득 정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지방정부도 스마트팜 단지를 적극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스마트팜으로 소수 기업농이나 시설업체만 이익을 가져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그렇다면 특정 소수에게만 수익이 돌아가는 스마트팜이 아닌,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고 공동체 전체가 수익을 나누는 ‘주민 참여 공유경제형 스마트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모델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고 보조와 주민 출자를 통한 재원 마련이다.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하려면 전기·용수 등 기반시설에 많은 비용이 든다. 정부가 초기 기반시설을 상당 부분 지원하고, 나머지는 원하는 마을주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세농업인과 고령층도 소외되지 않고 골고루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주민의 노동력 공여 및 일자리 창출이다. 스마트팜 단지를 통해 농작물을 생산하는 일은 농촌 주민이 맡고, 운용과 유지보수 등 기술 지원은 외부 인력 도움을 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장년층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고, 고령화되는 농촌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수도 있다.

셋째, 농촌 주민의 기본소득 보장이다. 마을주민이 함께 참여하고 이익을 나누는 공유경제형 스마트팜 단지는 공동 지분을 소유한 주민의 기본소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본소득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농가소득도 점차 늘려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주민 참여 공유경제형 스마트팜 모델은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에게는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등 기존 스마트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이익편중이라는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이 모델이 확대된다면 농촌사회 전반의 양극화 문제도 개선방안을 찾을 수 있고, 도시민의 귀농·귀촌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농림축산식품부뿐만 아니라 농촌진흥청·농촌경제연구원·농정원·대학·연구소 등 생산 및 운영기술을 컨설팅·교육·홍보하는 기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농산물 생산 과정에 필요한 빅데이터·첨단 ICT기술부터 유통과 판매·수출까지 종합적인 인프라 구축과 지원이 필요하다. 아울러 스마트팜 단지 조성은 지역 특성에 맞게 신청하고 선정하되, 생산품목은 어린이·임산부 등에 특화된 친환경 농산물, 지역특화 품목, 수급 상황과 인력 등을 면밀히 고려해 확정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팜을 시작으로 농업의 스마트한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앞으로의 과제는 농산물의 생산성·안전성·신뢰도를 높이면서 더불어 잘사는 농촌을 만드는 것이다. 주민 참여 공유경제형 스마트팜을 통해 우리 농촌의 새로운 도약기를 만들어나가자.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