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칼럼] 강태우 한국뇌연구원 홍보협력팀장 ‘인공지능 윤리과 신경윤리’
강태우 한국뇌연구원 홍보팀장.[한국뇌연구원 제공]

2016년 알파고의 대중화 이후,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의 생각을 넘어 무한대로 발전하고 있는 듯 하다. 현재 인공지능이 내린 판단에 대해 인공지능이 스스로 설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뮤제로’를 만들고 있는 단계에 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보고 있으면, 과거 SF 영화에서나 보던 인공지능에 지배당하는 인간의 삶이 진짜 현실이 되는 것이 하는 두려움도 가끔씩 느끼곤 한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 사회적으로 미래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올바른 윤리 규범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의 개발화 활용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해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발표했다. 과학기술분야 외 윤리학, 법학 등 학계, 기업계, 시민단체 등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 공개 공청회를 거쳐 3대 기본원칙과 10대 핵심 요건을 마련했다. 쉽게 말해서 인공지능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활용의 전주기 동안 인간 존엄성의 인본주의(人本主義)를 기본가치를 항상 우선으로 두는 것이다. 현재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서는 정부와 민간차원의 다양한 의견수렴으로 다른 주요 선진국에 뒤지지 않게 선제적으로 윤리 방안 서두르는 것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인공지능의 개발과 전망, 윤리문제를 보고 있는 가운데, 결국 인공지능은 우리 인간의 뇌와 링크(Link)하여 인간을 모사한 인공지능의 등장이 빨리 다가올 것 같다. 최근 뇌과학의 빠른 발전을 토대로 생각하고, 느끼고, 판단하며, 감성을 가진 인공지능의 등장은 우리에게 새로운 문제와 이슈를 던져줄 것이다. 현재의 인공지능 윤리를 뛰어넘는 새로운 사회 문제와 각종 윤리적, 법률적 문제가 어떠한 형태로 다가올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생활속에 보이지 않게 천천히 스며들고 있다는 생각은 다소 무리한 생각일까? 그러나 인간을 흉내내 자기 판단과 감정을 가지는 인공지능이 등장하면 과연 어떤 문제가 생기고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현재 기술적인 인공지능 개발에 대한 윤리 방안을 뛰어넘는, 인간 뇌연구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윤리방안 정립연구가 필요하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우리나라도 뇌과학의 빠른 성장과 발전에 따라 인간 뇌영상 이미지 분석, 뇌구조 연구 등 다양한 과학적 방법을 통한 윤리 방안 정립을 추진 중이다. 이를 ‘신경윤리(neuroethics)’라고 하며, 세계적인 블루오션으로 뇌과학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쉽게 말해서 기존의 보이는 모습만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 아닌, 우리 뇌를 연구하여 그 판단의 근거가 무엇인지 생물학적 근거를 토대로 다양한 사회적 규범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대구에 위치한 한국뇌연구원을 비롯해 다양한 뇌과학자와 법학, 윤리학 전문가들이 모여서 뇌과학을 기반으로 새로운 윤리 판단을 위한 다양한 과학적 근거를 찾고, 이를 표준화하여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제 민간 단체로 세계 최대 뇌과학협의체인 ‘세계뇌연구기구(IBI)’와 공동으로 우리나라는 국제신경윤리회의에 참여, 신경윤리 방안 모색을 위한 1차, 2차 국제대회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했으며, 2019년 대구에서 개최된 뇌연구 올림픽인 ‘IBRO 2019’에서도 신경윤리는 주요 의제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기도 하였다. 지난 제19대 국회에서 최종적으로 통과되지는 못했지만 ‘뇌연구 촉진법’을 개정, 신경윤리의 정의와 내용, 국가 차원의 신경윤리위원회 설치, 신경윤리센터 지정 및 운영 등 제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있었다.

인공지능 윤리와 신경윤리는 최종 귀착점은 우리 인간의 뇌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할 순 없으나 깊은 상호 관련성이 있다. 최근 ETRI, KISTEP 등 국책연구기관에서 발표한 ‘휴먼 디지털 증강’과 같은 인간 뇌 기반의 새로운 융합 분야에 대해서 사람을 닮은 인공지능의 새로운 윤리, 뇌과학을 통한 과학적 근거에 의한 신경윤리는 결국 공동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결국 인공지능 윤리와 신경윤리는 개별적 사안에 각각 적용하여 운영할 사항도 있겠지만, 거시적이며 미래 사항에 대해서는 학제간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다양한 토론과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신경윤리를 포함한 기존의 윤리체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고, 이를 토대로 국가 사회적 합의를 통한 새로운 뇌과학 윤리 패러다임이 만들어졌으면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정부, 대학, 연구자, 기업, 공공기관들이 힘을 모아 다학제간 연구에 정진하길 요청드린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