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28일 보스턴 메디칼 센터(BMC)에서 모더나 백신 1차 접종을 맞는 김권수(32) 씨의 모습. [김권수 씨 제공] |
지난 1월 27일 모더나 2차 접종을 맞은 지 47시간 만에 응급실에 갔다. 평소처럼 외래병동 오전 근무를 마치고 강의를 듣던 중 현기증을 느꼈다. 고개를 들자 회전문이 1초에 30바퀴 돌듯 방안 풍경이 어지럽게 흔들렸다. 휘청거리는 몸을 간신히 책상에 기대자 교수님은 “얼굴이 창백하다”며 응급실로 데려갔다. 속을 한바탕 게워내고 수액 1ℓ와 신경안정제를 맞았다. 정신을 차리자마자 메스꺼움이 몰려왔다. 여러 번 구토를 한 후에야 정신이 들었다.
코로나 백신을 처음 맞으며 각오는 했다. 지난해 12월 28일 1차 접종 때도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주사를 맞는 순간 바짝 긴장했지만 아프진 않았다. 문제는 그 다음날부터였다. 주사를 맞은 부위에 옷깃만 살짝 스쳐도 불에 타듯 살갗이 쓰라렸다. 36시간 후에는 오한과 발열로 온몸이 피로해 진통제를 연달아 먹었다. 그렇게 며칠을 앓은 후 기적처럼 살아났다.
작년 7월부터 보스턴 메디칼 센터(BMC)에서 펠로십(fellowship·전임의 수련)을 과정을 밟고 있다. 백신 후기를 유튜브 채널에 올렸더니 구독자들은 “백신을 맞고 잘못된 것 아니냐”며 걱정했다. 접종 초기에 고역을 치른 것 빼곤 건강엔 문제없다. 다만 코로나 백신 접종을 마쳤다는 건 아직도 실감 나지 않는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병원에서 레지던트로 일하면서 전염병이 삶과 죽음을 가르는 걸 목격했던 잔상은 여전히 생생하다.
김권수(32) 씨는 유튜브 채널 '닥터 파라과이맨'을 운영하고 있다. 작년 4월 미국 뉴욕에서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던 시기 최전선에서 싸우던 동료 의료진들의 인터뷰를 담았다. [유튜브 채널 '닥터 파라과이맨'] |
작년 3월 16일 뉴욕에 봉쇄령이 내려졌다. 내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를 3개월 앞둔 시점이었다. 코로나 확진자가 뉴욕에서만 하루 1만 명에 육박했다. 휴가에서 돌아온 4월 초, 바로 중환자실(ICU)에 투입됐다.
병원은 전쟁터였다. 코로나 환자들이 쉴 새 없이 밀려들었다. 침상이 부족해 복도에 널브러진 채 방치된 환자들도 있었다. 응급실에서 개인보호장비(PPE) 없이 환자를 보던 동료들은 코로나에 감염됐다. 9·11 뉴욕 테러를 겪었던 한 간호사는 “그때보다 훨씬 힘들다. 환자들이 죽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무력하다”고 했다.
중환자실 환자의 95%가 인공호흡기에 마지막 숨을 의지했다. 코로나 환자에게 첫 심폐소생술(CPR)을 하면서 본능적으로 망설였던 순간이 있다. 몇 초일지라도 감염에 대한 두려움에 굴복한 스스로에게 자괴감이 들었다.
하루에도 수없이 심폐소생술과 기도삽관을 시도했지만 여러 환자들이 차가운 주검이 되어 병원을 떠났다. 사망 소식을 알리는 전화를 매일 수십 통 돌렸다. 가족들은 전화기 너머로 오열했다. 한 유족은 영상 통화로 가족의 마지막 얼굴을 보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고통스러운 환희에 찬 표정을 지었다. 그러곤 “땡큐 닥터”라고 했다. 차오르는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살리지도 못했는데.
2020년 5월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병원에서 근무하는 김권수(32) 씨의 모습. [김권수 씨 제공] |
2020년 5월이 되자 거짓말처럼 환자 수가 줄었다. 4월 중순 1000명에 이르던 뉴욕의 코로나 사망자 수가 200명대 로 떨어졌다. 퇴원하는 일반 병동 환자들이 많아졌다. 외래진료도 재개됐다. 동료들은 “이제야 숨을 쉬겠다”며 안도했다.
뉴욕의 봉쇄령도 완화됐다. 뉴요커 30만명이 출근했다. 4개월 만에 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고, 식당에서 자장면을 먹었다. 6월 말,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고 전공의 자격을 얻었다. ‘아메리칸 드림’을 품고 파라과이에서 뉴욕으로 건너간 지 3년 만이었다. 파라과이 의대에 입학하고선 꼬박 12년 만이었다.
부모님은 1998년 나와 남동생의 손을 잡고 파라과이로 이민을 갔다.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사업이 어려워지자 부모님은 이국에서의 새 출발을 꿈꿨다. 정착자금이 부족해 미국·호주·캐나다를 가진 못했다. “1년만 머물고 가니 걱정말라”는 부모님의 말과 달리 17년을 파라과이에서 살았다.
파라과이서 의대를 졸업한 이듬해인 2014년부터 미국 의사면허 시험(USMLE)을 준비했다. 2017년 합격해 레지던트로 근무를 시작한 곳이 바로 뉴욕이다. 미국은 해외 의대를 졸업한 외국인이 USMLE에 합격해 미국 병원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면 미국 전문의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준다. 아메리칸 드림이 적어도 내게는 헛된 환상처럼 느껴지지 않았던 이유다.
김권수(32) 보스턴 메티칼 센터(BMC) 신장내과 전문의 [김권수 씨 제공] |
2020년 7월 보스톤으로 이사했다. 전문의로 바로 취업하거나 개업할 순 있지만, 세부 전공인 신장내과에서 경험을 쌓기로 했다. 고액 연봉을 받으며 전문의로 활동하는 동료들을 보며 가끔 후회할 때도 있다. 여전히 일반 병동과 중환자실을 뛰어다니며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코로나 환자가 줄었지만 백신의 효과라고 말하기엔 이르다.
값진 경험을 시간과 맞바꾼 것이라고 생각한다. 코로나 시기를 지나며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게 됐다. 어렵게 적응하는 빈민가 히스패닉 환자들을 보면 오래전 파라과이로 이주해 말 한마디조차 하지 못했던 가족의 모습이 겹쳐 보인다. 그래서인지 유창한 스페인어로 진찰하는 동양인 의사를 반겨주는 이민자 환자들을 마주할 때면 이런 게 ‘신의 뜻이 아니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유튜브 채널은 소소한 삶의 낙으로 자리 잡았다. 2019년 처음 채널을 만들 땐, 뉴욕 관광명소에서 찍은 바이올린 버스킹 영상만을 올릴 계획이었다. 그러나 코로나를 계기로 병원에서의 일상을 공유하면서 일종의 ‘의학 채널’로 성격이 바뀌었다. 앞으로도 미국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싶다.
올해 7월이면 펠로십 2년 차에 접어든다. 2년 차부터 업무 부담이 줄어든다고 하는데, 시간 여유가 생기길 기대하고 있다. 작은 소망이 있다면 무사히 펠로십을 끝내고 미국에서 전문의로서 정착할 수 있길,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이 종식될 수 있길.
박로명 기자/dod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