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분수 알고 인간 존중”…선비·효제·겸애정신 스민 곳
문화류씨 귀만와종가
운조루 안채 2층 다락방에서 본 풍경

문화류씨 귀만와종가의 운조루 안채 2층 다락방은 없어도 될 방이지만, 집안 여성들과 노모가 앉아서 바깥 풍광을 구경할 수 있도록 배려해서 설계한 것이다. 이곳은 지리산 노고단 남쪽 형제봉과 왕시루봉 아래에 있고, 섬진강 너머 오봉산을 마주보는 명당이다.

자연과 어울리는 인간의 공간미학, 힘겨울때 곳간을 과감하게 여는 나눔정신으로 유명한 이 종가의 후손 류정수씨는 “분수를 알고, 인간을 존중하는 선비정신, 효제정신, 겸애정신을 지켜내고 싶다”며 종가체험캠프와 민박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섬세한 배려의 미학, 나눔의 고택, 구례 운조루를 지은 귀만와 류이주(1726∼1797)가 문경새재에서 채찍으로 호랑이를 쫓아낸 대구 출신 무관이라는 점은 이채롭다. 어릴적 자라면서 정통학문에는 뜻을 두지 않고 세상만물과 어울리며 사냥도 하는 등 ‘호기심 천국’이었던 류이주는 서울에 올라가 견문을 넓히다 문과를 포기한 채, 무과에 응시했는데, 총융사 홍봉한이 정조에게 호랑이 일화를 들려주면서 무신 벼슬길에 나아간다. 행정과 건축 등 문리양도의 자질을 보이던 류이주는 낙안(순천)군수를 지내다 일이 좀 어그러지면서 그만두게 되자, 다시 여행자가 된다.

그리고는 지리산 끝자락 전남 구례군 오미리를 명당으로 알아보고 7년에 걸쳐 조선의 건축미학을 총동원해 운조루 등을 지으면서 문화류씨 귀만와종가를 열었다. 그는 영·정조의 부름에 따라 수원화성, 함흥성 축성하는데에도 큰 기여를 했다고 전해진다.

미학도 미학이지만 배려까지 담긴 운조루 고택이다. 길손에게 내주는 24칸 행랑채, 여성의 조망권을 배려한 2층 다락과 창문, 노인과 수레가 드나들 수 있는 경사로 돌길, ‘누구든 열어 가져갈수 있다’는 뜻의 ‘타인능해(他人能解)’ 뒤주 등이 그렇다. 다 나눠줘서 주인 가솔도 끼니를 걱정할 때면, 주민들과 함께 소나무껍질 끓인 죽 ‘송쿠죽’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왕건의 오른팔로 문화류씨 시조 류차달에 이어 조선개국 무렵, 후손 류익정이 국경 확장의 공을 인정받아 부원군에 오르는데 그가 곤산군파의 파조(派祖)이다. 류이주는 곤산군파 31대손이다.

류이주의 고손자 류제양(1846~1922)은 매천 황현과 교유하며 1만편의 시를 지었다. 귀만와종가는 전적·고문서류 352종 811책, 676건, 김정희가 쓴 편액·병풍·그림·글씨·수레바퀴 등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함영훈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