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정밀 방역대책 전제로한 등교수업 확대는 당연한 수순

정부가 등교수업 가능성을 긍정 검토하고 있다. ‘강제적인 초등학교 등교 제한 폐지와 대면수업권 보장’을 원하는 국민청원까지 나올 정도니 검토하지 않을 수도 없다.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의 3월 정상 개학은 방향이 정해진 듯한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비대면 수업이 가져온 교육 격차”로 운을 뗐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철저한 방역을 전제로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부터 대면수업을 하는 ‘책임등교’를 제안했다. 정세균 총리 역시 신학기 수업방식 사전 준비를 지시하며 사실상 등교 재개에 무게를 실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도 “초등학교 저학년 이하에서의 코로나19 위험도를 세밀하게 평가해 학교 방역 방향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등교수업 재개 검토는 말할 것도 없이 비대면수업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1학기 평균 등교일 수는 11.6일에 그쳤다. 집 안에만 머물다 보니 아이들의 정신적·신체적 위축은 불가피하고 이로 인한 학부모의 양육 부담도 만만치 않다. 신입생들은 학교 적응 자체가 어렵다. 돌봄과 급식의 공백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도 적지 않다. 생업에 힘든 부모들로 인해 등교수업이 없는 평일에 점심을 못 먹는 학생도 상당했다. 무엇보다 소득 수준에 따라 보육 여건이 달라져 학업성취도 차이도 심각하게 벌어졌다.

여기에다 저연령대는 코로나19 감염에 비교적 강하다. 이미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한림대 연구팀과 공동 연구한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역학조사’ 논문이 소아감염학회지에 발표되기도 했다. 지난해 5월부터 2개월여 동안 3~18세 국내 확진자 127명을 조사한 결과, 학교를 통한 감염은 3명(2.4%)에 불과하다는 내용이다. 해당 기간 학교 폐쇄 전후를 비교해도 확진자 차이는 없었다. 학교는 비교적 안전한 공간이란 얘기다.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등 다른 나라의 연구 결과도 비슷하다.

물론 논문 하나만으로 중요한 방역대책 변경의 근거를 삼을 수는 없다. 3차 대유행까지 포함된 연구는 나오지도 않았다. 집합 인원이 늘어나면 그만큼 감염위험도 커지는 게 상식이다. 중요한 것은 만반의 준비다. 정밀한 대책이 전제돼야 한다는 얘기다. 교실 내 책상 띄워앉기, 가림막 설치 등 기본적인 방역수칙은 물론이고 수시 체온 측정을 통한 점검도 필수다.

지난해 원격수업은 ‘고육지책’으로 시작해 1년 내내 시행착오를 거듭했다. 그런 과오가 등교수업 확대에서도 되풀이돼선 안 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